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0일 “대통령 가족과 친인척, 측근 비리는 정권뿐 아니라 나라의 불행까지 초래한다”며 “대통령 권력의 사유화는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민의 우려에 윤석열 대통령이 귀를 기울여야 한다”며 이처럼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비선 수행’ 논란 등을 언급하며 “조용히 내조만 하겠다던 대통령의 부인이 대통령도 어쩌지 못하는 권력의 실세라는 말까지 나와서야 하겠느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정부 시절 청와대의 공적 시스템을 무력화한 ‘비선 실세’ 최순실의 국정농단은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실의 ‘사적 채용’ 논란과 검찰 출신에 편중된 인사를 겨냥하며 “박근혜정부 청와대의 ‘문고리 3인방’에 빗대 윤석열정부 대통령실은 이른바 검찰 출신 ‘문고리 6상시’에 장악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법무부·행안부·국정원 등 권력기관의 정점에 한동훈, 이상민, 조상준 등 핵심 측근을 임명했다”며 “대한민국을 마침내 검찰 공화국으로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최근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30%대 초반까지 추락한 것을 두고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한 국민의 3분의 1이 지지를 철회한 것”이라며 “정권 말기의 레임덕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윤 대통령의 도어스테핑(약식회견)에 대해서도 “소통의 상징이라 여기는 도어스테핑은 더 이상 소통의 자리가 아니라 대통령의 말실수를 걱정하는 자리가 됐다”며 “지지율 급락은 권력 사유화, 인사 난맥, 경제·민생 무능에 더해 대통령의 오만과 불통이 더해진 결과”라고 비판했다.
여권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탈북어민 북송 사건을 다시금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것에 대해서도 “정치 보복성 기획수사와 구시대적 종북몰이로는 국면 전환에 결코 성공할 수 없다”며 “오히려 국정운영의 동력을 상실한 수준의 더 큰 국민적 비판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과 정부, 여당이 지금 해야 할 일은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민생”이라며 “국정운영의 기본으로 돌아와 경제와 민생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