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현 국정원장 극비 방미…北 핵실험 대응 등 논의할 듯

입력 2022-07-20 09:00 수정 2022-07-20 09:07
김규현 국가정보원장. 연합뉴스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이 19일(현지시간) 비공개로 전격 미국을 방문했다.

북한이 잇단 탄도미사일 도발에 이어 7차 핵실험 준비를 마친 것으로 평가되는 등 한반도 정세 유동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방문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외교가에 따르면 김 원장은 이날 오전 워싱턴 DC 인근의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지난 5월 취임 이후 첫 방문으로, 직원들이 우산으로 김 원장의 얼굴을 가린 채 이동하는 등 신원 노출을 극도로 꺼렸다.

국정원 관계자는 김 원장의 방미 일정과 관련해 “정보기관 수장의 동선은 확인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면서도 방미 사실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이번이 첫 방미인 만큼 국정원 카운터파트인 정보기관과 백악관, 국무부 등에서 다양한 인사들과 두루 만날 것으로 전망된다. 애브릴 헤인스 국가정보국(DNI) 국장, 윌리엄 번스 CIA 국장 등과 만날 수 있다.

국무부 부장관 출신인 번스 국장은 김 원장이 외교부 차관으로 재직했을 당시 한·미 차관급 전략대화 상대를 지내는 등 김 원장과 막역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백악관에서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등도 면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월 번스 CIA 국장이 방한했을 당시 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했던 만큼 상호주의 차원에서 김 원장이 조 바이든 대통령을 예방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 원장은 미국 측과 북한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 등을 통해 도발을 계속하고 있으며 7차 핵실험 준비도 끝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이 언제라도 핵실험을 통한 메가톤급 도발이 가능하다는 평가 하에 김 원장은 북한의 도발 준비 상황과 도발 시 대응 방안을 미국 측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논란이 불거진 ‘탈북어민 강제 북송’ 및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국정원은 첩보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 합동 조사 강제 조기 종료 등의 혐의로 박지원·서훈 전 국정원장을 각각 고발한 바 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