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년간 서울 아파트 한 채 가격이 4배 가까이 뛰어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 상황에서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서울에서 아파트는 사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년가량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2004년 이후 서울 주요아파트 시세 변동 분석결과’ 기자회견에서 “2004년 30평 기준 3억4000만원이던 아파트 가격은 올해 5월 12억8000만원으로 4배 가까이 상승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는 KB부동산 시세정보 등을 활용해 서울 25개 구별 3개 단지씩, 표준지 아파트 또는 1000세대 내외 대단지 아파트 75개 단지 12만4000세대를 대상으로 2004년 이후 18년간 시세 변동을 분석했다.
경실련은 노동자 평균 임금은 18년간 1900만원에서 3600만원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는 것을 전제로 “2004년에는 18년간 급여를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에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면 지금은 그 두 배인 36년간 급여를 모아야 장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강남과 비강남 지역의 아파트 격차도 18년 만에 4배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경실련에 따르면 지난 2004년 강남 3구와 비강남 지역 30평 아파트값은 각각 6억8000만원과 3억으로 차이는 3억8000만원이었다. 하지만 2002년 5월 기준 강남 3구는 26억1000만원, 비강남 지역은 11억으로 차이는 15억1000까지 벌어졌다. 또 지난 5년 동안에만 강남과 비강남의 격차는 8억에서 15억1000원으로 2배의 상승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실련은 “윤석열 정부는 무분별한 규제 완화를 중단하고 공공 역할을 강화해 저렴한 공공주택을 공급해야 한다”며 “선분양제 민간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를 전면 의무화하고 후분양제 이행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무주택 서민들이 겪는 고통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집값을 최소한 5년 전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며 “지금의 일부 실거래가 위주 하락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