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통일대교 부근에서 발견된 영아가 생후 6개월 정도지만 국가 접종 흔적이 없다는 소견이 나왔다. 국내에서 태어난 경우 생후 2개월 이내에 맞는 필수 접종이 있는 만큼 해당 영아가 북한에서 왔을 가능성에 더 힘이 실렸다.
경기북부경찰청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시신)부패 정도가 심해 정확한 사망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1차 구두 소견을 받았다”면서 “생후 6개월로 추정되고 생후 2개월 이내에 맞아야 하는 국가 접종의 흔적이 없다는 의견도 전달받았다”고 19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생후 2개월 이내 결핵예방접종(BCG) 등 국가가 권장하는 예방주사를 맞아 팔에 흔적이 남는다. 하지만 이 영아 시신에서는 이 같은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시신이 북한에서 떠내려왔을 가능성에 힘을 싣는 정황이다.
경찰은 정확한 신원파악을 위해 국과수로부터 유전자(DNA)검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국내에 등록된 유전자와 일치하는 사례가 있는지 대조할 방침이다.
또 지난 2일과 5일 인천 강화도와 김포시 한강하구에서 발견돼 남아의 시신과 가족관계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유전자와도 대조할 예정이다. 김포에서 발견된 남아 시신은 국내 등록 유전자와 일치되는 사례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육군 부대는 16일 오전 7시쯤 파주시 문산읍 임진강 통일대교 근처에서 표류 중인 남아 시신을 발견했다.
70㎝ 정도 된 시신은 옷을 입지 않은 상태였으며 부패도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