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이 중국 문명 소속이라고 표기한 중국 모바일 게임 광고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9일 “선을 제대로 넘었다”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이날 인스타그램에 한 중국 게임사가 이순신 장군의 소속 문명을 ‘중국’이라고 표기한 광고에 대해 “갑자기 DM으로 너무나 많은 제보가 들어와 확인해봤더니 정말이지 말문이 막힌다”며 이처럼 지적했다.
중국 게임사 ‘4399’의 한국법인 ‘4399코리아’는 신작 모바일 게임 ‘문명정복’을 출시했다. 문명정복은 한국, 일본, 중국, 로마, 아랍 등 세계 8대 문명이 등장하는 모바일 전략 게임이다.
지난 16일부터 게임 내 영웅을 소개하는 광고를 게재했는데, 이 광고에서 이순신 장군을 ‘중국 문명’ 소속이라고 소개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자 ‘4399코리아’ 측은 “운영팀에서 명칭이 잘못 기재됐음을 확인하고 즉시 삭제 조치했다”며 “이미지 제작 작업 중 편집 실수가 발생했고 별도의 검수를 받지 않은 상태로 광고에 사용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서 교수는 “회사 측 해명이 있었지만 중국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게임을 ‘문화공정’의 수단으로 사용했던 의혹이 있었던 데 주목해야 한다”며 그간 중국 게임사들의 문화공정 시도를 예로 들었다.
2020년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는 스타일링 게임 ‘샤이닝니키’ 한국 진출을 기념하면서 한복 아이템 의상을 선보였다. 중국 누리꾼들이 “한복은 중국 것”이라는 주장을 펴자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또 지난해에는 ‘스카이: 빛의 아이들’로 유명한 게임 개발사 댓게임컴퍼니의 제노바 첸 대표가 ‘갓’을 중국 전통문화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서 교수는 “모바일 게임은 특히 아동과 청소년에게 접근성이 좋은 만큼 잘못된 문화와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기에 큰 우려가 되는 게 사실”이라며 “향후 중국 게임에서 우리 문화와 역사를 또다시 왜곡하면 비난과 분노만 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응해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