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이 18일 일본을 방문해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갖고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의 조기 해결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한국 외교장관의 양자 회담 차원의 방일은 2017년 12월 약 4년 7개월 만이다.
박 장관은 이날 오후 일본 도쿄 소재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하야시 외무상을 만나 약 1시간 가량 회담 후 만찬을 함께했다.
박 장관은 회담에 앞서 일본 국민들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별세에 따른 충격과 슬픔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기를 기원하고 일본 국민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했다.
이어 한일 관계 악화의 시발점이 된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 박 장관은 현금화가 이뤄지기 전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양측은 강제징용 판결 문제의 조기 해결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한국 대법원은 지난 2018년 10월과 11월에 신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각각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는 내용의 확정판결을 내렸다.
이들 기업은 배상 책임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데 강제적 자산 매각(현금화)을 위한 법적 절차가 올 가을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박 장관은 또 1998년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 선언)’의 정신과 취지에 따라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했다.
양 장관은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양국이 지역 및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향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양측은 또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유연하고 열린 외교적 접근을 추진하기 위해 한일·한미일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