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47일째 계속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과 관련해 “산업현장의 불법상황은 종식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18일 한덕수 국무총리와 오찬을 겸한 정례 주례회동을 하면서 대우조선 파업 관련 보고를 받고 “법치주의는 확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다.
한 총리는 오찬 자리에서 ‘파업 장기화로 조선업과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막대하고 대우조선 노사 및 협력업체, 지역공동체가 큰 고통을 받고 있다’고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한 총리는 주례회동에 앞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하고 대우조선 파업 사태를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이날 오전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관련 보고를 받은 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만큼 관계부처 장관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라”고 지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파업 사태에 공권력 투입까지 검토 중인지’ 묻는 질문에 “대통령실에서 큰 관심을 갖고 우려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면서도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단계를 확인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직 아니다”라고 답했다.
정부는 한 총리가 주재한 긴급 관계장관회의 결과를 토대로 이날 오후 4시 30분 기재부, 법무부, 행안부, 고용부, 산업부 등 5개 부처 명의의 공동 담화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담화문에는 파업 장기화로 인한 피해에 우려를 표하면서 법과 원칙에 따른 단호한 대응 방침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이번 파업으로 대우조선에 약 57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지난달 2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경남지부 대우조선 하청지회 조합원들은 처우 개선을 요구하면서 파업을 시작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