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4억 미만 주담대, 고정금리로 전환…9월 시행”

입력 2022-07-17 18:14
1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에서 코로나19와 경제 대책 등을 주제로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음료를 마시고 있다. 왼쪽부터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연합뉴스

당정이 4억원 미만 주택 보유자의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 대출로 전환하는 대책을 9월 중 시행키로 했다.

당정은 또 환율 상승에 제동을 걸기 위해 지난해 말 종료된 한·미 통화스와프를 재개해야 한다는 데도 뜻을 모았다.

당정은 1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에서 윤석열정부 출범 후 두 번째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양금희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이 국회 브리핑에서 전했다.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위기가 계속되자 지난 6일에 이어 11일 만에 당정협의회를 개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양 대변인은 “당정은 물가·민생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총력 대응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며 “최근 이자율 상승 등을 고려해 4억원 미만 주택을 소유한 서민들의 이자 부담 경감을 위해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해주는 대책을 9월 중에 속도감 있게 시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 대변인은 브리핑 뒤 기자들과 만나 ‘한·미 통화스와프에 관한 당정 내 공감대는 어떤가’라는 질문에 “충분히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환율이 오르는 부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제동 장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한·미 통화스와프뿐 아니라 일본 등과의 통화스와프도 정부에서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당정은 또 코로나19 재확산에 대비해 병상 4000개를 추가로 확보하고, 치료제 94만명분을 내년 상반기까지 도입키로 했다. 현재 정부는 병상 5573개와 78만명분의 치료제를 확보하고 있다.

손재호 구승은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