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성 중구청장 “공동화된 중구, 주거 보강해 명품 도시로 재편”

입력 2022-07-17 12:10 수정 2022-07-17 12:18

서울 중구는 지리적으로는 서울의 중심이나 경제적으로는 변두리에 가깝다. 유동인구를 포함한 생활인구가 거주인구보다 배 이상 많은 곳, 그래서 주거·교육 여건이 좋지 않아 아이가 크면 이사를 생각해야 하는 곳. 중구 토박이인 김길성 신임 중구청장은 “중구는 서울의 시골이지만 서울시 미래 설계의 핵심이기도 하다”며 “서울 한복판이 바뀌어야 진짜 서울이 바뀌었다는 느낌이 든다. 구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겠다”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17일 서울 중구청사에서 가진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지금 중구는 서울의 중심이 아니라 서울의 시골”이라며 “도시 성장이 멈추니까 발전이 안 되고 슬럼화가 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낮에 일하는 용도로 썼다가, 밤에는 시커멓게 공동화되고 있다”며 “업무, 주거, 상업이 공존해야 하는데 한쪽으로만 편중된 구조여서 세 가지를 융복합 개발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같은 문제의식에 동의했다고 소개했다. 김 구청장은 “지방선거 전 오 시장을 만났다”며 “오 시장은 ‘내가 (시장을) 해보니 중구는 다른 자치구하고 달라서 꼭 김 구청장이 당선이 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김 구청장은 생활인구 정착을 위한 주거문제 해결을 정책 우선순위 상단에 두고 있다. 그는 “거주 인구가 12만2000명인데 생활인구는 40만~50만명”이라며 “주거지를 만들어 생활인구를 다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인구가 적으면 교육여건이 악화된다. 애들이 초등학교 5학년만 되면 엄마들이 이사를 걱정하기 시작한다”며 “주거 여건을 개선해 서울 중심의 공간이 24시간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주거 개선의 양축은 세운지구 개발과 노후 저층 주거지 개발이다. 여기에 서울역과 업무지구 등 개발이 가능한 곳마다 주택을 보강해 주거 기능을 강화하는 게 큰 틀이다. 김 구청장은 “세운지구 개발은 업무시설과 주거 공간에 더해 녹지까지 어우러지는 곳이어서 새로운 ‘뉴 서울’, ‘뉴 중구’가 될 수 있다”며 “빌딩 숲이 즐비한 강남 테헤란로와는 다른 형태의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노후 주거지의 경우 다산로 주변 재개발이 핵심이다. 그는 “중구는 인구의 3분의 2가 신당동, 청구동, 약수동 등 다산로 주변에 몰려있는데 65% 정도가 5층 이하 건물”이라며 “남산 고도제한과 역사문화지구 등의 규제를 풀어 적어도 20층 이상 올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로변에 업무·상업지역이 들어서고, 그 뒤편으로는 상업·주거지역이 차례로 개발되면 조금 더 경제성 있는 지역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단지 아파트를 조성할 곳이 마땅치 않은 만큼 서울시가 추진하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과 모아주택·모아타운도 적극 이식할 예정이다. 김 구청장은 “신통기획과 모아타운 등을 통해 개발하는 방법 말고는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기 어려운 구조”라며 “지구단위계획에서 천여 세대를 묶어 개발하는 노력과 동시에 업무시설 중심 공간을 주거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재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업무 공간에 들어서는 주거 공간은 대부분 청년, 신혼부부 대상이나 오피스텔”이라며 “일본 홍콩 등을 봐도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어 그런 삶의 변화를 따라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역 개발에 대해서는 “현재는 업무와 상업 비중이 큰 공간”이라며 “다만 생활방식이 달라졌기 때문에 사람이 살 수 있는 공간을 일부 조성하려고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인근 11개 정도의 재개발 사업 가운데 4개 지역이 주택 재개발 사업”이라며 “4개 지역 재개발이 이뤄지면 우선 1500세대 정도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거주민은 12만2000명이지만 중구에서 생활하고 세금을 내는 자영업자는 14만명, 이곳에 종사하는 사람까지 합치면 50만명에 육박한다”며 “중구에 주소가 없어도 밀접한 관계를 두고 사는 분들의 요구까지 구정에 반영해야 중구가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민선 7기와 비교해 가장 차별화하려는 점은 소통이다. 김 구청장은 “구청장과 직원, 주민, 구의회 등이 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돼야 큰일을 할 수 있다”며 “그렇지 못하면 상황 관리만 할 뿐 발전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품도시를 만드는 건 기본적으로 갈등을 조정해야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준구 김이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