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에는 드라마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부장판사 출신이자 드라마 ‘미스함무라비’ ‘악마판사’를 쓴 문유석 작가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대해 “미덕은 담백함”이라며 감탄했다.
문 작가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5회 ‘우당탕탕 vs 권모술수’에서 우영우(박은빈 분)가 최수연(하윤경 분)에게 별명을 지어주던 장면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우영우는 자신에게도 별명을 지어달라는 최수연이 ‘최고미인 최수연이 어떠냐’고 묻자 “넌 그런거 아냐”라면서 대신 “봄날의 햇살 최수연”이라고 말한다. 이어 “로스쿨 다닐 때부터 그렇게 생각했어. 너는 나한테 강의실의 위치와 휴강 정보와 바뀐 시험 범위를 알려주고 동기들이 날 놀리거나 속이거나 따돌리지 못하게 하려고 노력해. 지금도 너는 내 물병을 열어주고 다음에 구내식당에 또 김밥이 나오면 나한테 알려주겠다고 해. 너는 밝고 따뜻하고 착하고 다정한 사람이야”라고 덧붙였다.
우영우의 이 말을 듣던 최수연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눈시울이 붉어진다.
문 작가는 이 장면에 대해 “감동적인 영우의 긴 대사가 끝난 뒤, 수연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다만 눈물을 애써 참으며 벅차오르는 감정을 갈무리한다”면서 “드라마가 감정을 절제하니 시청자의 감정은 더 고조된다”고 평했다.
문 작가는 6회 ‘내가 고래였다면’에서 정명석 변호사(강기영 분)가 공익소송에 증인으로 부른 의사의 기분을 상하게 해 로펌이 수십억짜리 클라이언트를 잃었다며 신입들 앞에서 가혹한 질타를 받는 장면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명석은 절대 언성을 높이지 않고 그 동료와 언쟁을 하지도 않는다”면서 “정명석은 그저 ‘알았으니 그만하라’고 동료를 달래 보낸 후 신입들에게 ‘자기 잘못이 맞다’고 말한다. 대형 로펌 파트너 변호사이기 때문이다. 그러고는 망설이다 덧붙인다. ‘그래도 그깟 공익소송, 그깟 탈북자 사건, 그렇게 생각하진 말자. 수십억짜리 사건…처럼은 아니지만, 열심히 하자’고 말한 뒤 창피해서 먼저 가야 한다며 일어선다”고 말했다.
문 작가는 이 장면이 너무 감탄스럽다며 “변호사란 그래도 약자를! 어쩌고 하면서 감동적 연설을 하지 않고, 어떻게 그깟 공익소송이라고 할 수 있어! 하고 버럭 화내지 않는다”면서 “또 수십억 사건만큼 열심히! 라고 후배들에게 멋진 멘트를 날리지도 않는다”며 “수십억 사건…처럼은 아니지만, 이라고 흘리고는 그래도 열심히 하잔다. 더 뭉클하다”고 전했다.
이는 “현실 직장인이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선의이기 때문”이라며 “더 공감 가고 신뢰가 간다”고 덧붙였다.
문 작가는 특히 “(우영우는) 그 숱한 천만 영화 감성과 차별화되는 이 담백함과 절제가 오히려 더 큰 공감을 얻고 있는 것 같다”며 “콘텐츠 소비자들의 감성은 이미 바뀌었으니 제작자들은 제발 신파 강박을 놓아주시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3일에도 이 드라마에 대해 “사랑스럽고 사랑스럽고 사랑스럽다. 박은빈 만세”라며 “꼰대인 줄 알았는데 의외로 바로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하는 로펌 상사 캐릭터도 너무 사랑스럽다. 현실에 드물어서 그런가 보다. 착하고 좋은 이야기인데 강박적 PC(정치적 올바름)에 빠져있지 않고 디테일들이 살아있다. 기대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ENA 수목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천재적인 두뇌와 자폐 스펙트럼을 동시에 가진 우영우의 대형 로펌 생존기로 감동적이라는 등의 입소문을 타 많은 시청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시청률 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1회 0.9%로 출발해 6회 9.6%로 수직상승했다.
문 작가는 부장판사 시절 에세이 ‘개인주의자 선언’ ‘판사유감’ 등을 써 ‘글 쓰는 판사’로 잘 알려졌다. 소설 ‘미스함무라비’가 드라마로 제작되며 극본을 맡기 시작했다. 2020년 법복을 벗은 후 드라마 ‘악마판사’와 책 ‘최소한의 선의’를 썼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