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국정원이 지난 2018년 당시 남북이 핫라인을 통해 주고받은 메시지를 들여다보고 있다는 보도를 두고 “안보 자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박 전 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정보기관의 존재 이유를 무력화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적었다.
동아일보는 이날 국정원이 2018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부터 같은 해 4월 남북정상회담에 이르는 기간에 서훈 당시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통일전선부장이 주고받은 메시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정원은 국가 비밀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주요 정보 일부가 북으로 흘러갔는지를 확인 중인 것으로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박 전 원장은 이에 대해 “세계 어느 나라도 정보기관의 비밀 접촉 등 내용들을 법정 비밀문서 보관 기간내에 이렇게 흘려주고 보도하는 나라는 없다”며 “이렇게 해서 남북관계를 또 다시 파탄낸다면 세계가 우리를 어떻게 판단 하겠는가”라고 했다.
박 전 원장은 또 “국정원인지 검찰인지는 몰라도 이런 식으로 돌아가면서 언론에 한 건씩 흘려주는 것은 국가기밀을 스스로 누설하는 못된 행위”라고 했다.
이어 “제가 방어권을 행사하면서 혹시라도 기밀사항을 말한다면 나라가, 안보가 어디로 가겠나”라며 “의혹이 있다면 언론 플레이를 하기 보다 수사로 사실을 밝혀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문재인정부의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탈북어민 강제 북송 사건’과 관련해 검찰은 박 전 원장 등 사건 핵심 관련자들을 출국금지하고 수사 중이다.
미국 싱크탱크의 초청으로 현지에 머물고 있는 서 전 원장의 경우 입국 시 그 사실이 검찰에 자동 통보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국정원은 지난 6일 박 전 원장과 서 전 원장을 각각 검찰에 고발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