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15일 1326.1원으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스텝’(0.5% 포인트 금리 인상)도 달러화 가치의 고공행진을 따라가지 못했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14원 오른 1326.1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 단행했다. 전날 5.2원 올라 1312.1원에 마감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에도 급등세를 이어갔다. 이미 개장 7분 만에 1320원을 돌파했고, 장중 1326.7원까지 도달했다.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계기로 금융위기에 빠졌던 2009년 4월 29일(1340.7원) 이후 13년2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연고점은 지난 12일 1316.4원에서 사흘 만에 새로 쓰였다.
달러화의 강세는 유럽·일본을 포함해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자이언트스텝’(0.75% 포인트 금리 인상)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률을 끌어낼 것이라는 금융·증권가의 판단이 달러화의 강세를 견인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9.1%로 집계해 지난 13일 발표했다. 1981년 12월 이후 4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5월 CPI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인 8.6%를 초월해 앞자리가 9로 바뀌었다.
6월 CPI를 확인한 월스트리트 금융‧증권가는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연준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 스텝’을 뛰어넘는 1% 포인트 금리 인상론에 무게를 두기 시작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의 금리 인상률 전망에서 오후 4시30분 현재 1% 금리 인상 가능성을 택한 비율은 46.4%다. 한때 80%를 웃돌았던 비율이 내려갔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의견이 모아졌다. 0.75% 포인트 금리 인상을 예상한 비율은 53.6%다. 그 이하의 금리 인상률을 택한 의견은 현재 전무하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