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금리인상 부담, 서민·취약계층에 전가돼선 안 돼”

입력 2022-07-14 11:52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2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제2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며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지만 그 부담이 고스란히 취약계층과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3일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대출 이자 부담이 가계를 더 강하게 짓누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 대처에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 위치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서민 경제가 무너지면 국가 경제의 기본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선제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가 안고 가야 할 사회적 비용은 더 커질 것”이라며 “우리의 미래인 청년 세대들은 꿈과 희망을 잃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금융 자원을 충분히 활용해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금융 채무는 그 대출 채권을 자산관리공사가 매입하고 만기 연장, 금리 감면 등을 통해 상환 부담을 경감해 줄 것”이라고 약속했다.

특히 청년층에 대해선 “연체가 발생하기 전 선제적인 이자 감면, 원금 상환 유예 등 청년 특혜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청년 안심전환대출을 통해 상환 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고물가·고금리 부담이 서민과 취약계층에 전가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 달라”고 관계 기관들에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1차 회의에서 고물가 완화 방안을 논의한 데 이어 2차 회의에서는 고금리에 대응한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창구에 상담하러 온 시민들과 만나 채무 상환 애로 등을 청취하기도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