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1일 이준석 대표 징계에 따른 당내 혼란을 ‘권성동 원내대표의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수습해 나가기로 결의했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와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 다양한 수습 방안들이 거론되며 혼란스럽던 당내 상황이 권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봉합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윤석열 대통령과 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상황에서 당 수습 방안을 두고 다툴 여력이 없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권 원내대표의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당을 운영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 마무리 발언에서 “위기를 기회로 삼아서 변화하고 변화하겠다”며 “윤석열정부가 국민에게 약속한 철학과 비전을 보여주고 정책으로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 구성이나 임시 전당대회 개최 등을 주장하는 의원들도 있었지만 그야말로 소수의 목소리에 그쳤다”고 전했다.
다만 의총에서는 윤리위 징계의 정당성 여부를 두고 의원들 간에 격론이 오가기도 했다. 당초 의총 결의문에 포함될 예정이던 ‘윤리위 징계 결과를 수용한다’는 내용은 하태경 의원 등이 강력 반발해 최종 결의문에서 빠졌다.
의총에 앞서 열린 초선·재선·중진 등 선수별 의원 모임에서도 권 원내대표의 직무대행 체제를 추인하는 모습이었다. 중진 의원 모임에 참석했던 영남권 한 의원은 “상황이 긴급한 만큼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하는 데 참석자 대부분이 찬성했다”며 “직무대행 체제를 언제까지 유지할 것인지를 놓고 다양한 논의가 오갔다”고 설명했다. 중진 의원 모임에는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김기현·안철수 의원, 정진석 국회부의장 등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안 의원은 모임 뒤 기자들에게 “지금 (상황을) ‘사고’로 보는 게 맞다는 게 당 사무처 입장이고 저도 동의한다”며 권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었다.
초선 의원들 역시 현 상황을 당대표 ‘궐위’가 아닌 사고로 규정한 당 지도부의 의견을 존중하기로 결정했다. 최고위원들도 큰 이견 없이 권 원내대표의 직무대행 체제를 승인했다.
다만 이준석 대표의 징계 수용 여부 및 자진 사퇴 가능성, 경찰 수사 결과 등 변수는 여전히 남아 있다. 정부와 협력해 여러 정책을 다뤄야 하는 권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까지 병행하는 게 물리적으로 어렵지 않겠냐는 회의론도 당 일각에서 제기된다.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언제든지 고개를 들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 대표의 징계 수용 여부도 중요 변수다. 이 대표가 윤리위 징계를 수용하고 자진 사퇴할 경우 궐위 상태가 돼 조기 전당대회를 여는 수순으로 갈 수도 있다.
이 대표는 윤리위 결정이 나온 지 나흘째가 되는 이날도 잠행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의총 결과 등을 살피며 향후 행보를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 결과와 관련해 이 대표를 만나 이야기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여러 의견이 있었는데 조금 더 심사 숙고한 다음에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권 원내대표는 국회 원 구성 전에 대정부질문과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위한 본회의를 열자고 더불어민주당에 제안했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우리 당이 양보한 만큼 화끈하게 양보해서 국회 정상화 의지가 있다는 걸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재호 강보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