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은행‧영화관 등 민간기업과 손을 잡고 노인들도 쉽게 쓸 수 있는 키오스크(무인단말기)를 만드는 등 ‘디지털 약자와의 동행’을 시작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디지털 약자와의 동행’ 행사에 참석해 “경제적 취약계층이 가장 대표적이겠지만 디지털 약자도 우리 사회에서 잘 챙기고 보듬어야 할 대상”이라며 디지털 소외계층의 어려움 개선을 위한 민‧관 협력 네트워크인 ‘디지털역량강화협의체’ 출범을 선언했다.
협의체는 어르신, 장애인 등 디지털 약자가 실제로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수렴해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한다. 신한은행, CGV, 세븐일레븐, KBS미디어 등 기업 6곳과 대한노인회 서울시연합회 등 관련 기관 7개가 협의체에 참여한다.
협의체는 우선 신한은행, CGV와 함께 어르신‧장애인단체 등의 자문을 받아 디지털 약자 당사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키오스크를 개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신한은행은 큰 글씨와 쉬운 언어를 적용한 ‘시니어 고객 맞춤형 ATM 기기’를 공과금 납부기기 등 은행 내 다른 기기로 확대한다. CGV도 신한은행과 비슷한 디지털 약자 친화 티켓 무인발급기를 올 하반기 중 시범 도입한다.
서울시는 또한 키오스크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모두를 배려하자는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대시민 캠페인 ‘천천히 해도 괜찮아요’도 편의점 디지털 매체 등을 활용해 연말까지 진행한다.
아울러 디지털 기기를 학습한 후 패스트푸드점, 영화관 등 실제 현장에 가서 기기를 사용해보는 체험형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인 ‘온동네 1일 체험’도 실시할 예정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