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다가구·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주택가의 고질적인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2025년까지 2000억원가량을 투입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도심 내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4년간 추진할 주차종합계획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부산의 전체 주차장의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약 171만면으로, 등록차량(131만여대)보다 40만면이 많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주거지와 근무지, 방문지를 합친 최소 필요 주차장 확보율 130%를 만족하는 수치다. 하지만 노후 주거지 밀집 지역 등 주차환경개선지구(주차장 확보율이 일정 비율 이하인 구역) 내 주차장 확보율은 69%에 불과해 주차 문제로 인한 주민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시는 2025년까지 총 1995억원을 투입해 4대 분야에서 15개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2025년까지 주차장 6092면을 추가로 공급한다. 주차환경개선지구에는 공영주차장 3644면을 조성해 주차장 확보 비율을 75.6%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주차시설이 부족한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신규 건립과 증축 등을 통해 주차장 339면을 추가로 공급하고, 부설주차장 개방 지원사업과 그린주차사업 등을 확대해 주차장 2109면을 확보하기로 했다.
선진 주차시스템 도입도 추진한다. 주차관제기 제조사별 운용프로그램이 달라 잦은 사용 오류와 관리 불편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통합하는 지능형 통합 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기로 했다.
야간 원격주차관제시스템을 16곳에 추가 설치하고 환경친화적 자동차 증가에 발맞춰 공영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144대를 추가로 확충한다.
법정 주·정차 금지구역과 어린이보호구역, 시민 등의 보행 안전을 위협하거나 차량 소통을 방해하는 주정차 차량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 버스 정류소, 건널목, 어린이보호구역 등 178곳을 중점 단속 구역으로 지정하고, 이 지역을 무조건 단속되는 지역으로 인식하도록 강력 단속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