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이 취임 이후 최우선 과제로 ‘금융시장 안정’을 꼽았다.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과 ‘원팀(One Team)’을 이뤄 불안정한 금융시장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11일 열린 제9대 금융위원장 취임식에서 “‘현재 우리 국민은 금융과 금융위에 어떤 역할을 기대하고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봤다”며 “무엇보다 ‘금융시장 안정’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금의 시장 불안은 국제 정치 상황 등 여러 요인이 복합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그리고 언제쯤 안정화될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금융리스크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중심이 돼 향후 상황 전개를 다각도로 예측해보고 활용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며 적시에 대응해 나감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관계부처와의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통화・재정정책 이외에 미시적 구조조정 등 다양한 정책의 효과적인 조합이 필요한 만큼 관계부처, 금감원, 한은, 금융유관기관 등과 ‘원팀’을 이루어 긴밀히 소통하며 공동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금감원과 함께 금융회사 건전성을 두텁게 관리해 위기 상황에서도 금융권이 흔들리지 않고 필요한 부문에 적재적소의 자금공급을 수행하는 안정판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성도 강화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금리 상승, 자산 가격 하락 및 고물가 추세는 민생경제, 특히 서민, 소상공인, 청년층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지원은, 범정부차원에서 전 부처와 우리 사회구성원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 노력해야만 하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금융 취약계층의 지원과 관련해 금융회사의 역할을 당부했다. 그는 “금융업계의 취약계층 지원 관련, 관치금융 등 논란이 많다”며 “사회공동체의 일원인 취약계층의 어려움에 대한 우리 모두의 관심과 배려 없이, 한국 경제와 금융산업이 과연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을까 고민해 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산업의 혁신도 추진 과제로 꼽았다. 그는 “금융회사들의 혁신을 지연시키는 규제가 무엇인지, 해외 및 빅테크 등과 불합리한 규제 차이는 없는지 살피겠다”며 “불필요하거나 차별받는 부분은, 금산분리, 전업주의 등 과거의 전통적 틀에 얽매여 구애받지 않고 과감히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가상자산과 빅테크 등에 대한 규율체계에 대해선 “가상자산 관련 기술의 미래발전 잠재력을 항상 염두에 두고, 글로벌스탠다드를 바탕으로 범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해 나가겠다”며 “가상자산 관련 생태계가 투자자와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보하면서 건강하게 육성되어 나가도록 뒷받침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