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적으로 한국교계 상황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교단의 미래 100년을 위한 발전 방안이 적극 모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목회자 연금제도 구축, 사회복지 통한 성장, 분쟁 관련 교단역할 강화, 양봉 자립 등이 제시된다.
지난 8일 경기도 과천소망교회에서 열린 백석총회 정책포럼에서 총회 서기 이승수 목사는 목회자 연금제도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연금 시행을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목회에 올인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연금 적립은 꿈도 꾸지 못하는 실정”이라면서 “총회관을 마련해 외적 구심점을 마련했다면, 내적 구심점을 확보하는 방안은 연금제도 구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총회관 건립 때처럼 종자돈을 후배들을 위해 적립해 장기적 차원에서 (연금을) 준비할 수 있고, 목회자 스스로 퇴직금 적립 형태로 매월 납부하고 수령할 때는 총회 차원에서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목사는 국민연금 미가입 상태의 목회자들을 지원하는 것도 의미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그는 “매월 500명에게 10만원을 지원할 경우 월 5000만원, 연 6억원 소요가 예상된다”며 “연금준비위원회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기금 정립을 위해 기구의 법적 지위 확보와 세례교인의무금 적립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 교회의 동참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회복지를 통한 성장 방안도 제시됐다. 총회 사회복지위원장인 홍승훈 목사는 현재 한국교회 가운데 복지사역을 하지 않는 교회가 거의 없지만, 많은 교회들이 복지사역에 대한 정확한 방향과 정보가 부족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 진단했다. 이에 복지 사역을 할 때 교회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보단 전문단체 및 지역단체와 연대해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펼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홍 목사는 “교회는 지역사회 안에서 요구하고 있는 복지 수요를 깊이 있게 파고들어 사역 아이템을 발굴해야 한다”면서 “도움을 요청하면 총회 사회복지위원회는 다양한 복지사역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복지사역을 잘하는 목회자들과 연결시켜주는 멘토링 제도를 적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교회, 노회 분쟁과 관련한 교단의 역할 강화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이는 현재 노회 안에서 분쟁이 발생할 때 ‘쟁송’으로 번져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총회 부서기 김강수 목사는 “재판보다 화해하고 수습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이 총회 안에 마련돼 있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노회가 갖고 있는 권징 권한이 필요하고 존중받아야 하지만 자칫 큰 후유증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와 관련해서는 총회와 협의하면서 진행하는 게 좋은 해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어촌 미자립 교회를 위한 자립 방안으로서 벌을 키우는 ‘양봉’이 제시되기도 했다. 현재 국내 양봉 농가는 4만5000가구가 있는데, 기독교인이 약 40%를 차지하며 이 중 5%는 목회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남노회 정문규 목사는 “양봉은 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큰 자본이 들어가지 않는 가운데 주님이 주신 자연환경에서 수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립 교회는 농어촌 교회에서 얻은 양봉 생산물의 판매를 돕고, 교단은 정책적으로 목회자들이 양봉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최경식 기자 k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