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배터리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통일한다.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은 8일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 혼선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친환경차량의 배터리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지했다.
앞서 기아는 최근 신형 니로EV를 출시하면서 고전압 배터리 제원을 표기할 때 ‘리튬이온 배터리’와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라는 표현을 혼용해서 사용해왔다. 이로 인해 고객들이 혼동을 겪자 명칭을 통일하기로 한 것이다.
현대차 등은 “수소전기차/전기차/하이브리드카(이하 친환경차)의 고전압 배터리 제원을 표기할 때 ‘리튬이온 배터리’와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라는 표현을 혼용해서 사용해왔으나, 이로 인해 고객 여러분들께 혼선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머리를 숙였다.
또 “전통적으로 배터리 셀 내부 전해질에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 이를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명명해 왔다. 하지만 친환경차에 요구되는 성능 및 내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액상 전해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해질 소재로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는 없다”며 “과거 문헌적 의미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친환경차 관점에서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배터리이며, ‘리튬이온 배터리’와의 성능 및 품질, 내부 구성품 등의 비교 역시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당사의 모든 친환경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는 제조사 및 배터리 타입과 무관하게 배터리 셀 내부의 양극, 음극, 분리막 등에 폴리머 성분이 첨가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