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내놓은 8·28 전당대회 규칙을 일부 수정해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내부 반발이 일자 우상호 비대위원장이 6일 “비대위에서 수정한 안이 당무위에서 다시 수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적 절차에 따라 전준위 안을 비대위가 수정할 수 있고, 당무위가 비대위 안을 수정할 수 있는 것 아닌가. 민주적 절차가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고 전대 규칙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전준위는 예비경선 투표 비중을 ‘중앙위원회 100%’에서 ‘중앙위 70%·국민 여론조사 30%’로 변경하는 안을 제안했으나 비대위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여기에 비대위가 ‘최고위원 권역별 득표제’를 도입하겠다고 하자 ‘친명계’ 의원들은 특정지역 의원들의 지도부 입성을 막으려는 의도라고 주장하며 반발했다.
우 위원장은 “당내 갈등은 대표가 관철하려는 안이 있어서 그에 반대하는 계파의 의원들과 싸울 때 커진다”며 “(제게는) ‘우상호 안’이 없고, 다수 의견을 듣고 결정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기로 한 데 대해 “당대표 후보들은 인지도가 높으니 문제가 없는데, 열 몇 명이 나서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여론조사가) 실무적으로 가능한지를 고민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으면 이재명 의원도 컷오프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이런 식의 음모론적 시각이 문제”라며 “한 나라의 대선 후보까지 하신 분이 컷오프되는 게 말이 되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자신들에게 유리한 룰을 만들어 달라고 하면 솔직하지, 이 의원을 왜 끌고 들어가나”라고 비판했다.
‘최고위원 권역별 득표제’와 관련해서는 “지도부 구성 원칙에 다양성이 있는데, 최근 수년간 지도부를 보면 호남·영남·충청 등을 대표하는 최고위원이 없었다”며 “지역 여론을 반영하는 통로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