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대 전반기 서울시의회를 이끌 김현기 서울시의장(국민의힘)이 “TBS(교통방송)의 최대 문제점은 편향된 방송이 들어 있다는 것”이라며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방송이 시민 요구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간다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김어준의 뉴스공장’의 청취율이 높다고 해서 공정방송은 아니라고도 지적했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폐지된다 해도 재정지원 중단 방침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김 의장은 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방선거에서 대다수 시민의 요구는 TBS를 개선하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장은 “교통방송에 시민 세금이 1년에 수백억원이 투입된다”며 “시민이 원하는 공정방송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6·1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국민의힘은 제11대 서울시의회 112석 중 76석을 차지했다. 국민의힘에 주도권이 넘어간 시의회는 TBS에 대한 서울시 재정지원을 중단하는 내용이 담긴 조례안을 발의했다. 사실상 재정 중단을 끊는 내용이다.
새 조례안은 기존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폐지하는 것이다. 기존 조례에는 TBS 재단의 기본 재산은 ‘서울시 출연금과 그 밖의 수입금으로 조성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조례가 폐지되면 서울시의 TBS 예산지원 근거가 사라진다.
김 의장은 “조례 폐지는 재정지원만 중단한다는 뜻”이라며 “TBS가 없어지는 게 아니라 다른 말로 하면 독립선언 조례”라고 했다. TBS가 오히려 서울시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 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 의장은 “TBS가 공영방송이니 상업광고를 못했지만 민간방송으로 전환되면 방통위 심의를 받아 상업광고가 가능하다고 본다. (김어준 방송) 청취율이 높으면 광고가 폭주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의장은 재정지원 중단까지 이르게 된 TBS의 문제를 묻는 질문에 “편향된 방송이 들어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청취율 1위라는 질문에는 “청취율이 높다고 해서 공정방송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보편성을 상실하면 공정한 방송이라고 아무도 판단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의장은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폐지되면 대책이 달라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며 “TBS는 교통안내를 하기 위해 설립된 방송이다.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TBS도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TBS를 교육방송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의장은 “재정지원 중단과 교육방송 전환은 조화롭게 진행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의장은 재정지원 중단 시점에서 대해 “서울시의회에서 조례 폐지가 통과되고 시장이 조례를 공포한 날로부터 1년간 유예기간을 둘 것”이라고 했다. 다만 1년 안에 물리적으로 어렵다면 기간의 유연성을 가질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TBS 예산이 얼마나 줄어들지 묻는 질문에는 “그것은 서울시장의 권한이라 여기서 말씀드릴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오 시장은 올해 TBS 출연금을 375억원에서 122억원 삭감한 253억원으로 편성했었는데 민주당이 과반이었던 서울시의회는 320억원으로 출연금을 확정했었다.
TBS 대표 “사실상 TBS 추방하겠다는 것” 강력 반발
TBS는 이 같은 서울시의회 조례 폐지 추진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강택 TBS 대표이사는 “독립이라는 이름으로 실제로는 TBS를 추방하겠다는 것”이라며 “사실상 타깃은 ‘김어준의 뉴스공장’”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시사보도를 방송 편성에서 싹 빼야 된다는 건 절대 받을 수 없다”며 “TBS의 서울시 재정 의존도가 70%가 넘는데 그게 확 없어진다고 하면 어떻게 살아남겠느냐”고 했다.
이 대표는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 완전 박탈)을 언급하면서 “이번 조례 추진은 ‘시보완박’(시사보도 완전 박탈)”이라고 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