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권익위원장-한 총리, ‘김앤장 경력’ 두고 충돌?

입력 2022-07-03 10:46 수정 2022-07-03 11:21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한덕수 국무총리의 이해충돌방지법 관련 신고내용을 두고 문재인정부에서 임명된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부실하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당 진영에서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전 위원장에 대한 자진사퇴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양측 간 갈등이 확산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3일 국무조정실과 김병욱 민주당 의원실 등에 따르면 한 총리는 지난달 20일 국무조정실 법무감사에게 ‘민간부문 업무활동 내역서’를 제출했다. 한 총리는 2017년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년3개월 동안 김앤장 로펌에서 근무한 내용을 신고했다.

신고 내용은 ‘국제 통상환경, 주요국 통상정책 연구 분석 및 소속 변호사 자문’ ‘주요국 경제 변화에 따른 국내 경제정책 방향 분석 및 소속 변호사 자문’ 등 두 줄로 압축됐다. 지난해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정유사인 에쓰오일 사외이사를 지내면서 한 활동도 ‘이사회 참석 상정안건 검토·분석 등’이라고만 적어냈다.

권익위 측은 해당 신고내용이 부실하다는 입장이다. 전 위원장은 이와 관련 “가장 모범을 보여야 할 국무총리가 부실한 자료를 냈다”며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직자 직무의 이해충돌 여부를 가리는 권익위가 국정 2인자로 정부 주요정책에 관여하는 한 총리의 이력을 구체적으로 알아야 사적 이익 추구를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총리실 측은 “한 총리가 로펌에서 특정 사건의 변호인으로 일한 것이 아니다”며 상세한 개별 사건 내용을 보고할 이유가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연합뉴스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태를 두고 현 정부와 전 정권 인사 간 갈등이 영향을 준 것이란 해석을 내놓고 있다. 여권은 문재인정부에서 임명된 전 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이들은 임기 보장을 이유로 자리를 지키고 있어 대립 구도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달 전 위원장과 한 위원장을 향해 “대통령의 정치 절학이나 국정과제에 동의를 안 하는 분”이라며 “자리에서 물러나는 게 정치 도의상 맞다”고 사퇴를 요구한 바 있다. 이들은 지난달 13일부터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라는 통보를 받고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