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한 달 간 집중적으로 도내 전통시장과 산업단지를 찾아가 불법사금융 피해 상담부터 신고·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는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운영한다.
고객지원센터·기업 내 임시상담창구를 마련해 전담 수사관이 직접 피해 상담·접수를 진행한다.
경기도는 불법사금융 피해 우려 지역을 찾아가 피해 상담부터 신고·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는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8월 3일까지 도내 전통시장과 산업단지 14곳에서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는 불법사금융 이용 사실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부담감, 보복의 두려움, 생업 등의 이유로 수사기관 방문을 기피하는 피해자를 위해 경기도가 직접 현장을 찾아가는 사업이다.
2020년 처음 시작됐다.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은 4일 안산시 소재 반월표면처리사업협동조합을 시작으로 산업단지 7개소와 의정부제일시장 등 전통시장 7개소를 방문해 불법사금융 피해상담 활동을 벌인다.
피해상담소는 불법사금융 전담 수사관이 임시 상담 창구에서 직접 피해 상담·접수, 신고·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피해 확인 시 즉각적인 수사를 진행해 피해를 최소화 하며, 불법사금융 피해 유형과 대처 요령 등을 안내한다.
피해 내용에 따라서는 경기도 서민금융지원센터를 통한 ‘극저신용대출’ 등의 이용을 권유하기도 한다.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는 2020년부터 현재까지 도내 전통시장·상점가 33곳, 대학교 5곳, 산업단지 4곳 등 42곳을 찾아 3010여 건의 상담을 하는 등 적극적인 피해 예방 활동을 해온 바 있다.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는 2020년 금융위원회 불법사금융 근절 우수시책에 선정됐으며, 모범사례로 전국의 다른 지방정부에서도 운영 중이다.
김영수 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장은 “나빠진 경제 상황으로 운영자금 등 급전이 필요한 소상공인 등 저신용자들의 불법사금융 피해가 클 것”이라며 “피해상담소 운영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