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원 기아 ‘캐니언’ 김건부가 연패로부터 적극적인 플레이의 중요성을 배웠다고 밝혔다.
담원 기아는 1일 서울 종로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2 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시즌 정규 리그 1라운드 경기에서 KT에 2대 0으로 승리했다. 3승2패(+3)를 기록해 4위로 한 계단 올라섰다.
김건부와 함께 상체 삼인방을 구성하는 ‘너구리’ 장하권 ‘쇼메이커’ 허수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김건부는 1세트 탈리야, 2세트 비에고로 두 선수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냈다. 2세트 땐 POG로 선정되기도 했다.
젠지, T1에 연패해 침체됐던 팀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패를 끊어야 하는 순간이었다”고 말문을 연 김건부는 “KT는 바텀 라인전 능력이 좋고, 상체도 단단한 우직한 스타일의 팀이다. 이렇게 2대 0으로 승리를 거둬 기분이 좋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건부는 1, 2세트의 승부처로 각각 내셔 남작과 드래곤 전투를 꼽았다. 그는 “상대가 내셔 남작을 쳤을 때 빠르게 잘 대처했던 게 중요했다. 2세트는 ‘너구리’ (장)하권이 형의 좋은 플레이 덕분에 스노우볼을 잘 굴려서 이겼다. 상대 징크스가 잘 큰 상황이었는데, 그가 드래곤 전투에서 고립돼 데스를 기록한 게 컸다”고 게임을 복기했다.
담원 기아는 적극적인 게임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연패로부터 얻었다. 김건부는 “팀원들끼리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면서 “젠지, T1전에서 팀이 전체적으로 위축돼 있단 느낌을 받아 아쉬웠다. 패배하더라도 해야 할 플레이를 전부 하고 져야 한다. 저번엔 아무것도 못 하고 졌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는 실수가 나오더라도 더 과감하게 게임을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담원 기아가 김건부에게 캐리력이 높은 챔피언을 맡겨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김건부는 최근 대회에서 쓸 만한 챔피언들한테서 캐리력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봤다. 그는 “정글러 챔피언 중 캐리력이 뛰어난 게 별로 없다고 요즘 느낀다. 그나마 오늘 했던 탈리야 정도다”라고 전했다.
이어 “요새 메타는 정글러가 초중반을 견인하고, 한타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는 게 중요하다. 특정 챔피언 외에는 캐리력을 기대하기 어려워 나도 아쉽다”며 “계속 새 챔피언을 찾으며 유리한 밴픽을 구성하기 위해 고민해보겠다. 지금도 많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세트 중반부, 그는 부시에 매복해 잘 성장한 ‘에이밍’ 김하람(징크스)을 잡아냈다. 게임의 승부처였다. 김건부는 당시를 복기하며 “징크스가 혼자 부시로 올 거라곤 생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마침 근처에 상대 와드가 없었다. 한타 구도를 좋게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면서 “때마침 징크스가 고립되는 구도가 나왔다. 운도 따라줬다”고 덧붙였다.
지난 시즌에도 자르반 4세로 상대방의 시야 맹점을 이용한 슈퍼 플레이를 선보였던 김건부다. 그는 시야 플레이 연구소로 솔로 랭크의 협곡을 꼽았다. 김건부는 “시야 플레이를 잘하는 노하우랄 건 딱히 없다. 솔로 랭크를 열심히 하다 보면 터득할 수 있는 것들”이라면서 “솔로 랭크는 교전이 워낙 자주 일어나 은근히 연습 효과가 좋다”고 귀띔했다.
담원 기아의 다음 상대는 농심 레드포스다. 김건부는 “농심은 라인전이 단단하고, 정글러가 공격적으로 잘하는 팀”이라며 “단단히 준비해야 이길 수 있다. 우리만의 장점을 잘 이용해보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어 “더운 날씨에도 현장 응원을 와주신 팬들께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윤민섭 기자 fla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