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큐브위성 ‘스텝’ 사출 성공… “자세 제어 중”

입력 2022-06-30 15:48
누리호에 탑재돼 우주 궤도로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이 조선대 학생들이 만든 큐브위성을 사출하는 장면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탑재된 성능검증위성에서 큐브위성(초소형 위성)이 성공적으로 분리돼 지상국과 교신이 이뤄졌다. 큐브위성은 자세 안정화 작업 뒤 백두산 폭발 위험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조선대팀이 제작한 큐브위성 ‘STEP Cube Lab-Ⅱ’가 29일 오후 4시 50분 성공적으로 분리돼 30일 오전 3시 48분 지상국이 이 큐브위성의 신호 일부를 수신했다”고 30일 밝혔다. 큐브위성은 위성의 자세, 배터리 모드, 배터리 전압 정보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지상국은 큐브위성이 보내는 신호를 20회 받을 예정이었지만 2회만 수신됐다. 항우연은 큐브위성이 현재 빠르게 회전(텀블링)하고 있어 수신 횟수가 적은 것으로 판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완전한 양방향 교신을 하려면 자세 안정화 시간이 좀 더 필요한 듯하다”고 설명했다.

이 위성은 조선대 오현웅 교수가 지도하는 학생팀이 만들었다. 질량 9.6㎏으로 성능검증위성에 실린 4기의 큐브위성 중 가장 무겁다. 주된 임무는 최근 폭발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는 백두산 천지의 수온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국내 최초로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카메라를 장작하고 있으며 한 달에 3∼4회 백두산 폭발 징후를 관찰할 예정이다. 한반도 도심지역 열섬현상, 원전 온배수 방류 현황 관측도 이 위성의 임무다. 임무 수명은 1년이다. 항우연은 남아 있는 큐브위성 3기도 예정대로 분리할 계획이다. 사출 예정 날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큐브 위성이 오는 1일, 서울대 3일, 연세대 5일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