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6년까지 도내 주소정보를 현재보다 두 배 이상 확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는 별도 주소정보가 없는 지하상가에도 주소가 부여되는 등 촘촘한 주소망으로 응급환자 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게 안전 사각지대를 없앨 뿐만 아니라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등 디지털시대 생태계에 맞는 주소정보로 도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구상이다.
경기도는 주소정보를 현재 118만5000여 개에서 두 배 이상으로 확충하는 내용의 ‘제1차 경기도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2022년~2026년)’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도는 ‘주소로 안전한 경기도, 주소로 편리한 경기도, 주소가 자원인 경기도’를 비전으로 촘촘하게 연결된 국가주소정보 확충, 주소지능정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
이에 따라 지상도로 중심의 도로구간을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 내부도로(지하상가 등), 건물 실내 이동경로 등으로 나눠 주소정보를 부여하기로 했다.
특히, 지하철역 화장실을 비롯해 물품보관함·소화전 등에 사물주소를 부여해 지하철 화장실에서 응급환자 발생 시 경찰·소방 등 긴급구조기관이 실시간으로 주소정보를 공유해 신고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도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인근 산책로와 야외 배달장소 등에 주소정보를 부여하면서 다양한 출입구에 대한 정보(주차장 출입구, 장애인 출입구 등)를 구축하기로 했다.
기존 건물주소 체계에서도 상세주소(도로명주소 뒤에 표시하는 동·호수 등)를 확대해 보행로 내비게이션 등을 사용할 경우 아파트나 상가(단지) 출입구를 넘어 계단(승강기), 복도, 방문 앞까지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집행계획은 지난해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 이후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것이다.
도 관계자는 “주소정보를 확충할수록 드론 배송·로봇 산업·실내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의 생활 편의도 향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