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원전 철회 3년 만에 유치 재점화…또 찬반 갈등 우려

입력 2022-06-28 13:19 수정 2022-06-28 14:01
경북 울진 한울원전 전경. 국민일보DB

강원도 삼척시에서 대진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이 완전 백지화된 지 3년 만에 민간 차원의 원전 유치 활동이 재개됐다.

삼척시원자력산업유치협의회는 27일 남양동 사무실에서 협의회 창립식을 가졌다. 2015년 8월 협의회를 해산한지 7년 만이다. 협의회는 “심각한 인구유출로 침체한 삼척경제를 살리려면 원전 유치 외에는 대안이 없다”며 “지역 발전을 위해 원자력발전소와 소형원자로사업, 원전해체기술, 폐기물처리장 등 원자력 산업 유치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윤석열 대통령이 원전산업에 대해 강한 의지를 보이고 정부 관련 부처 또한 원전 비중을 35%까지 올리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며 “원전 유치는 끝없이 추락하는 삼척경제를 활성화하고 인구를 유입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연우 삼척시원자력산업유치협의회장은 “세계적으로 원전 르네상스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국내에서만 원전산업이 퇴보하고 있다”며 “원전을 무조건 반대했던 수년 전과는 달리 지금은 지역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 원전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삼척에 원전과 관련 산업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사회에서는 원전 유치 문제를 놓고 또다시 지역갈등이 촉발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삼척은 그동안 두 차례 원자력발전소 건설 반대 투쟁이 벌어졌다. 첫 번째 투쟁은 근덕면 덕산리 일대가 원전 건설 예정 후보지로 지정된 1982년이다.

당시 근덕면 주민은 반대대책위 구성, 이장 집단 사표, 총궐기대회 등 원전 건설 계획에 강력하게 반발했고 결국 1998년 원전 건설 예정지 지정 해제 결정을 끌어냈다.

정부는 4년 후인 2012년 9월 근덕면 부남·동막리 일대를 다시 원전 예정 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삼척시민은 문화제, 촛불집회, 궐기대회 등 반대 투쟁에 나섰고 정부는 2019년 6월 원진 예정 구역 지정 고시를 해제했다.

현재 삼척시는 대진원전 건설 예정 해제 부지에 2023년 착공을 목표로 관광휴양 복합타운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부터 삼척 원전 반대투쟁을 이어온 이광우 삼척시의원 당선인은 “가장 민주적인 방식인 주민 투표를 통해 원전 유치가 중단된 것이 불과 3년 전 일”이라며 “원전 유치는 지역 발전을 불러오는 게 아니라 지역 갈등을 일으켜 오히려 지역발전을 저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척=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