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패싱’ 일축한 한동훈 “검찰 인사, 국민 위한 것”

입력 2022-06-28 04:23 수정 2022-06-28 09:40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한 후 과천청사를 나서고 있다. 법무부는 이날 '검수완박법' 권한쟁의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청구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7일 검찰총장 임명 전 잇따라 검찰 인사를 단행하면서 ‘총장 패싱’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검찰 인사는 검사를 위한 게 아니라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 퇴근길에서 취재진에게 “몇 달이 걸리는 총장 인선 이후 모든 인사를 하겠다는 건 일을 제대로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검찰에 산적한 업무가 많다는 걸 다 이해할 것”이라며 “검찰 인사는 국민을 위해 잘하는 체제를 갖추려는 게 목적이다. 빨리 체제를 갖춰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 장관은 “과거 정권 교체기와 과거 정부에서는 총장뿐 아니라 장관이 없는데도 검찰 인사를 하기도 했다”며 현 상황이 이례적인 게 아니라고 짚었다.

또 “총장후보추천위원회는 공개를 안 하고 있지만 이미 구성 작업에 들어가 스케줄이 진행 중”이라며 검찰총장 인선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한 후 과천청사를 나서고 있다. 법무부는 이날 '검수완박법' 권한쟁의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청구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중간간부급 인사를 앞두고 비(非) 특수통 검사들의 사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한 장관은 “검찰 인사는 검사를 위한 게 아니라 국민을 위한 것”이라며 “무슨 통, 무슨 통같이 무협지 식(式)의 얘기는 과장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을 위해 잘하는 체제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인사에서 특정 분야가 우대, 홀대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정부에서 ‘법무부 탈검찰화’ 기조로 늘어난 외부 개방직 유지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요한 건 국민에게 좋은 서비스를 하는 것”이라며 “유능한 분들이 국민을 위해 서비스할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에둘러 말했다.

한 장관은 오는 29일 미국 연방수사국(FBI)을 방문한다. 최근 출범한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 운영에 참고하기 위해 미국 FBI의 인사 검증 시스템을 확인할 계획이다. 한 장관은 “미국 연방정부는 우리 법무부와 여러 접점·협력 관계가 있다”며 “서로 배워야 할 점이 많아서 보고 올 것”이라고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