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학습을 한다며 떠났다가 전남 완도에서 실종된 초등학생 조유나(10)양 일가족에 대한 수사가 엿새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승재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가족이) 범죄에 연루됐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승 연구위원은 2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처음부터 범죄에 연루됐으면 떠났던 최초 시점 정도에 문제가 발생한다”며 “이미 한 달의 시간이 지난 상황”이라고 이처럼 주장했다.
이어 “(일가족 실종이) 범죄 관련성과 많이 언급되는데 조심스러운 부분”이라며 “우편함에 여러 가지 독촉장이 있었다는 말도 나오는데, 이것만 가지고는 경제 형편이 어려웠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범죄에 연루됐다고 말하기 조심스럽다”고 설명했다.
밀항 가능성에 대해서는 “모든 출구가 막혔을 때 하는 최후의 선택”이라며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도 신용카드는 나중에 정지되기 때문에 충분히 떠날 수 있다. 아이와 함께 가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어서 밀항을 선택했다고 보긴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추측했다.
승 연구위원은 조양 아버지와 어머니의 휴대전화가 각각 3시간 간격으로 다른 곳에서 꺼진 점을 거론하며 사고일 가능성도 낮다고 분석했다.
그는 “조심스러운 추측”이라면서도 “사고라고 예를 들면, 같은 장소에서 휴대전화가 꺼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시간 차도 있고 장소도 다르다. 같은 장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승 연구위원은 이들이 극단적 선택을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이 또한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봤다.
그는 “극단적 선택에 대한 수사 가능성을 덮어둘 수는 없다. 다만 가족이 오후 11시쯤 펜션에서 나갔다고 하는데, 만약에 극단적 선택이라고 한다면 그 당시 (조양 아버지 휴대전화 신호가 마지막으로 잡힌 송곡항에) 물이 차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오전)은 물이 들어와 있지만, 저녁에는 간조로 물이 다 빠진다”며 “오후 11시나 새벽 4시 사이에 송곡항에서 다른 행동을 하려면 자동차로 뻘을 지나야 하는데, 거길 지나가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승 연구위원은 “추측이지만 또 이럴 수는 있다”며 “차 트렁크에 음식을 충분히 담고 있고, 캠핑한다든가 아니면 산에 들어가서 야영을 할 가능성도 있다. 문자나 전화통화, 당시 누구와 연락을 했는지 알아야 이 부분에 대한 퍼즐이 맞춰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순간까지 최대한 조양과 부모님이 돌아오는 것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경찰은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양 가족은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15일까지 제주도에서 ‘한 달 살기’를 하겠다며 학교에 교외체험학습을 신청했다. 신청 기간이 끝나도 조양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자 학교 측은 지난 22일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조양 가족이 제주를 방문한 행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