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사겠다던 ‘장사꾼’…민사고 최명재 설립자 별세

입력 2022-06-26 16:38 수정 2022-06-26 16:58
최명재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자. 국민일보DB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설립한 최명재(95) 이사장이 26일 오전 5시20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고인은 기업인으로 성공 신화를 이룬 뒤 민족 지도자를 키우겠다며 거침없는 추진력으로 민사고를 설립했다. 고교평준화 흐름 속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린 시대의 반항아이자 기인으로 평가받는다.

최 이사장은 1927년 전라북도 만경면 화포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경영대학의 전신인 경성경제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한국상업은행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택시운전사로 전직했고 2년 만에 택시 한 대를 직접 구입했다. 택시운전을 하며 번 돈으로 자동차정비공장을 인수했고 운수회사(성진운수)까지 운영하게 된다.

1970년대 중반에는 이란에 진출해 유럽과 중동에서 물류운송업을 했다. 이때 번 자금으로 1987년 파스퇴르유업을 창립했다. 파스퇴르유업은 국내 최초로 저온살균 우유를 도입했다.

최 이사장은 자신의 숙원이었던 세계적인 지도자 양성을 위한 학교 설립을 추진했다. 영국의 ‘이튼 칼리지’를 모델로 강원도 횡성 파스퇴르유업 공장 옆 부지에 민사고를 세웠다.

최명재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자. 국민일보DB

민사고는 1996년 3월 1일 개교했는데 3‧1운동 정신을 가지지 않으면 민족 지도자로 성장할 수 없다는 최 이사장의 고집 때문이었다.

저돌적으로 사업을 운영했던 최 이사장은 ‘돈키호테’ ‘고집쟁이’로 불리기도 했다.

파스퇴르를 운영하면서 번 수익금 대부분을 민사고 설립 및 운영에 투입했는데 규모가 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스퇴르유업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파고를 넘지 못하고 경영난으로 한국야쿠르트에 매각됐다. 민사고는 학비와 식비 등이 전액 무료였지만 재정 지원이 중단돼 현재는 학비를 내야 한다.

그는 민족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를 키우기 위해 민사고를 설립한다면서 “기왕 장사를 시작한 바에는 큰 장사를 하려고 한다. 학교를 만들고 영재를 교육해 장차 이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하게 한다면 나로서는 수천, 수만 배 이익을 얻는 셈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한 바 있다.

최 이사장은 생전에 회고록에서 “내가 돈을 벌었다면 그것은 사회가 잠시 내게 돈을 맡겨 제대로 쓰도록 기회를 허락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회로부터 돈을 위탁받은 나는 가장 적절한 용처에 효율적으로 그 돈을 써야 할 의무를 진다”고 썼다.

영재 육성을 목표로했던 민사고는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 하버드대 13명, 예일대 20명 등 985명을 해외 유명 대학에 진학시켰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5호다. 발인은 28일 오전 6시20분이다. 영결식은 28일 오전 9시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 학교장으로 거행된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