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주당의 ‘팬덤정치’를 또 비판하고 나섰다. 박 전 위원장은 “폭력적 팬덤의 원조는 이른바 ‘극렬 문파’”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의 극렬 지지층을 겨냥했다. 그러면서 “이들의 눈엣가시가 돼 온갖 고초를 겪은 대표적 정치인이 이재명 의원”이라며 이 의원을 엄호했다.
박 전 위원장은 24일 페이스북에 “폭력적 팬덤과 결별하고 당내 민주주의를 살려야 한다”며 “이들(극렬 문파)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입장과 조금만 다른 발언을 해도 낙인찍고 적으로 몰아 응징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폭력적 팬덤은 민주당을 잘못하고도 사과할 줄 모르는 염치없는 정당으로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처리를 강행한 것도 극렬 팬덤의 영향이었다고 주장했다.
박 전 위원장은 “검찰개혁 법안 처리를 반대하는 의원이 최소 수십 명은 됐지만, 의총 결과는 만장일치 당론 채택이었다”며 “폭력적 팬덤이 침묵을 강요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거듭 비판했다.
최강욱, 김남국 의원의 실명을 거론하며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당의 위신과 명예를 실추시키고 선거 패인을 제공했지만, 최소한의 공식 사과도 없었고 누구도 그들의 책임을 묻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제 팬덤 정치에서 벗어나 민심 정치로 돌아가야 한다”며 네 가지 자세를 제안했다.
그는 의원들이 폭력적 팬덤을 두려워하지 않고 발언해야 하며, 당원 및 지지자들이 좌표를 찍고 문자폭탄을 던지는 폭력적 행위를 중단해야 하고, 당은 이견을 수렴할 수 있게 당원이 참여하는 정치토론회를 많이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번 당대표 선거를 팬덤정치와 결별하고 민심 정치로 전환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변화를 가져오는 데는 선거 규정이 매우 중요하다”며 “팬심 아닌 민심을 얻는 후보를 대표로 선출할 수 있게 당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존 전당대회 룰에서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