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새 원훈으로 61년 전 중앙정보부(국정원 전신) 창설 당시 사용한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는 문구를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고(故) 신영복(1941~2016) 성공회대 교수 서체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이라는 문구가 적힌 원훈석은 1년 만에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정원이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해당 원훈을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훈은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가 1961년 창설됐을 당시 초대 중앙정보부장인 김종필 전 총리가 지은 것으로 이후 37년간 사용됐다. 최장기간 사용된 만큼 역대 원훈 중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문구다.
김 전 총리는 회고록에서 “중정은 근대화 혁명의 ‘숨은 일꾼’이어야 하고 드러나는 것은 ‘성과’여야 한다”며 “우리가 만든 정보를 국정 책임자가 사용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면 그것이 바로 양지를 사는 것”이라고 했다.
국정원은 새 원훈석을 제작하는 대신 국정원이 국가기록물로서 보관해온 해당 옛 원훈석을 다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6월 창설 60주년을 맞아 교체됐던 현 원훈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은 불과 1년 만에 교체될 운명을 맞이했다. 현 원훈석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20년간 복역한 고(故)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의 손글씨를 본뜬 ‘신영복체’로 쓰였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있었다.
한편, 국정원은 전날 1급 보직국장 전원을 대기 발령하며 업무에서 배제하고, 국장 아래 직급인 단장을 ‘국장 직무대리’ 형태로 보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정원장인 김규현 원장 체제가 들어선 후 인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 기조에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