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윤석열정부의 반도체 인력 양성 계획에 대해 “반도체 인력 양성은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하지만, 교육을 과거 60·70년대 근대화 시대처럼 산업발전의 도구로만 생각하는 방식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조 교육감은 2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과학기술 진흥정책이라든지 반도체 양성을 강조하는 건 의미가 있다. 적극적으로 부응하겠다”면서도 “하지만 교육이 산업발전의 도구적인 위치를 부여받아서 수출 인력,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는 단계는 지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교육감은 “지금 공교육은 전인적 성장, 아이들의 잠재력이 능력과 배경에 상관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지원하고 2등부터 꼴등까지 학생들도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그런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산업은 인재를 키워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도 9일 교육부를 찾아 “첨단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 정원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범부처 반도체 인력 양성 특별팀 주무 부처를 맡는 등 첨단분야 학과 증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조 교육감은 ‘기초학력 저하를 막기 위해 학력평가 확대를 공약한 보수 교육감들이 대거 당선됐다. 학력평가 확대가 일제고사 부활로 가는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는 질문에는 “보수 교육감 당선인들이 과거로 돌아가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조 교육감은 “(기초학력이 떨어졌다고 해서) 일제고사 부활이라든지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부활로 가면 제 입장에선 과거로 가는 것”이라며 “그러지 말고 기초학력 문제, 또 학력 진단의 적절한 방식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진보와 보수의) 중간 지대의 보완 방법을 함께 협의하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