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조국 이슈’는 없다… 시민단체, 尹과 각 세워 반등 모색

입력 2022-06-21 10:22 수정 2022-06-21 10:35

윤석열정부 들어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들이 보폭을 넓힐 준비를 하고 있다. 문재인정부 시절 ‘조국 사태’ 등을 거치면서 회원들이 대거 이탈하는 등 주춤했던 이들 단체는 현 정부 들어 정부 정책과 대척점에 선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키우려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윤석열정부의 규제 완화나 공공성 축소와 같은 정책 기조와 선명하게 대립각을 세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규제 완화와 대기업, 민영화 중심인 현 정부의 기조로는 코로나19 이후 부각된 양극화, 사회보장·돌봄 부족 같은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고 향후 활동 방향을 설명했다.

경실련 관계자도 “지난 정권에서 부동산 이슈에 주로 목소리를 냈다면, 이번 정부와는 경제 정책 전반에서 여러모로 견해가 달라 더 전면적으로 부딪히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앞서 참여연대는 지난 16일 현 정부가 내놓은 ‘새정부 경제 정책방향’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경실련도 17일 논평에서 “재벌로의 경제력 집중만 심화시킬 ‘재벌 특혜 정책’을 폐기하고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 혁신을 위한 공정경제 기조로 전환하라”며 새 정부의 기조 선회를 촉구했다.

일부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은 문재인정부 기간 안팎에서 홍역을 치렀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시민사회 후원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데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가족 수사나 검찰개혁 추진 국면에서 진보 진영으로부터 ‘내부 총질’ 등의 비난에 시달리면서 후원층이 대거 떠났다. 반대로 문재인정부의 실정을 제대로 지적하지 않고 미온적으로 대응한다는 안팎의 비난도 받아야 했다. 일례로 3년 전 1만5000명에 육박했던 참여연대 후원회원 수는 현재 1만3500명 안팎으로 줄었다고 한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보수 정권와의 대립 국면이 선명해지면 시민단체들도 활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진보성향 시민단체들과 함께 활기를 띠는 곳은 동물권 단체들이다.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대형 시민단체보다 동물 보호 단체의 후원금이 더 커졌다”는 말까지 나온다. 단체들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동물권 발언에 대해서도 “성장에 기폭제가 될 수 있다”며 반기는 기색이다. 앞서 김 여사는 한 인터뷰에서 “(윤석열정부에서) 동물학대와 유기견 방치, 개 식용 문제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시민단체들은 후원회원들이 갈수록 고령화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다. 1994년 출범한 참여연대는 대부분의 후원회원이 40대와 50대다. 1989년 출범한 경실련도 50대 이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젊은 세대의 호응을 이끌어낼 이슈를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젊은 세대의 경우 시민단체 자체에 대한 후원보다는 각 사안에 따라 단발적으로 지지하고 흩어지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개별 이슈에 대해 호응하는 젊은 층을 겨냥해 다양한 의제를 발굴해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