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로 줄어드는 지역소비지출, 장기체류 관광객으로 해결

입력 2022-06-21 09:35

지역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가 심각히 우려되는 가운데 관광을 중심으로 한 방문자경제 활성화가 가져오는 인구감소 대체소비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한국관광공사는 지역인구 감소에 대한 관광대체 소비규모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빅데이터 플랫폼인 한국관광데이터랩(datalab.visitkorea.or.kr)에 21일 발표했다. 지역인구 1인당 지역 내 소비액과 관광대체 소비규모는 2021년 개인소비 데이터(BC카드, 신한카드)와 한국은행, 통계청, 국민여행조사 등 공공데이터와의 융합분석을 통해 추정해 산출했다. 분석 대상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인구감소 지자체(89개)와 감소관심지역(18개)이다.

2021년도 우리나라 총 개인소비 지출액은 840조 9823억원(한국은행)이며, 국민 1인당 소비지출액(총 개인소비 지출액/주민등록인구수)은 1638만3000원이었다. 이를 기초지자체 단위로 보면 지역 안에서는 평균 744만5000원(45.44%)을, 지역 밖에선 평균 893만6000원(54.56%)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인구 감소로 줄어든 지역 내 소비지출액을 관광객 유치로 대체하려면 감소인구 1인당 연간 숙박여행객 18명(연간 18만9000원, 53.47%)과 당일여행객 55명(7만2000원, 46.53%)이 합산된 규모가 필요한 것으로 산출됐다(2018~2020년 국민여행조사 3개년 평균 숙박·당일 여행객 비율에 의거 산출). 1인당 소비효과가 큰 장기체류 관광객을 유치할 경우 방문객 1인당 인구감소 대체 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구감소 지역이 포함된 광역시·도에서 연간 1인당 지역소비액은 강원도(859만원), 광주광역시(858만1000원), 전북도(824만9000원) 순으로 높았고, 대전시(467만4000원)가 가장 낮았다. 관광 대체소비 규모로 보면 강원도의 경우 감소인구 1명당 숙박 관광객 32명(18만7000원, 69.38%)과 당일 관광객 31명(8만5000원, 30.62%)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감소세인 기초지자체별 지역 내 소비지출 규모는 충북 제천(929만2000원), 경북 안동(741만1000원), 충남 논산(718만원) 순으로 높았고, 전남 신안(210만8000원), 전북 임실(267만2000원), 전남 함평(273만1000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관광 대체소비로 보면 제천은 감소인구 1명당 숙박여행 34명과 당일여행 71명, 신안은 숙박 6명과 당일 14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 1인의 지역소비 규모가 절대적으로 낮은 신안, 임실, 함평 지역은 인구 감소가 지역 기반서비스 붕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며, 관광을 통한 지역의 체재, 교류인구 증대전략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라 볼 수 있다.

관광공사는 데이터 기반 지자체 관광분석 지원 강화, 지자체 관광활성화 컨설팅 지원, 인구감소지역 관광활성화 프로젝트 추진, 인구감소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민관학청(청년) 협업네트워크의 구축 및 운영 등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활성화 지원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정선희 관광컨설팅팀장은 “이번 분석을 기반으로 관광공사 대내외 협업을 통해 인구감소 지역에서 관광으로 인한 대체효과를 보다 빠르고 쉽게 측정하고, 지역의 인구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는 관광 중심의 인구활력 제고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