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로 코로나’, 경기도형 맞춤 지원체계로 대응해야

입력 2022-06-21 08:03

장기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국내 기업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이와 맞물려 경기도 기업의 피해도 늘어나자 도내 기업에 대한 경기도 차원의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도 산하기관인 경기연구원은 피해기업 조사 및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등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제로 코로나 장기화에 대비하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 코로나19로 인한 최초 사망자 발생 이후 2020년 1월 우한 지역을 시작으로 2021년 1월 후베이성의 스자좡, 2022년 1월 허난성의 쉬저우, 3월 지린성의 지린과 창춘 등 코로나19 발생지역의 사람·물류 이동을 막는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해당 지역 봉쇄로 발주 중단, 운송 지연 등이 일어나면서 경기도 기업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화장품 수출업체인 A기업은 중국 현지의 발주 중단으로 올해 대중국 수출이 지난해 대비 30% 이상 감소해 약 1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반도체 장비 생산업체인 B기업은 중국에서 원부자재 수입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해 국내 생산 및 타국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함께 운송 지연에 따라 운송비·보관료 폭등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연구원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 분석하면서 경기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구체적으로는 피해기업 SOS 지원팀을 신설하는 등 관련 조사 및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중국 의존도 높은 품목 확인해 품목별 대응 방안 모색), 중국에 설치한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활용한 수출입 기업의 중국 현지사무소 대행 역할 강화, 중국 현지의 한국기업인협회와 경기도 기업 간 연계 강화, 대중국 수출입 기업에 대한 현장 중심의 애로사항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수행 경기연 선임연구위원은 “정부기관, 중국 현지 한국기업인, 국내 관련 기업인 등이 참여하는 플랫폼을 시급히 구축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