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0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기립했다. 유력한 발사 시점은 오는 21일 오후 4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이날 “누리호의 발사대 기립과 고정 작업이 오전 11시10분쯤 완료됐다”고 밝혔다. 누리호는 오전 7시20분쯤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 무인특수이동차량에 실려 발사대로 이동했다.
조립동에서 발사대까지 거리는 1.8㎞로 가깝지만, 차량은 발사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오전 8시44쯤까지 저속으로 이동했다. 누리호는 발사대에서 이렉터에 견인돼 수직으로 세워진 뒤 고정됐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오후 중 누리호의 에비오닉스(전자장비), 레인지시스템(추적 장비), 자세제어계에 대한 최종 점검을 실시한다. 또 추진제(연료 및 산화제)를 충전하는 엄빌리칼 설비가 누리호에 연결된다. 이 모든 작업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오후 7시 전에 발사를 위한 설치 작업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는 21일 오전 중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에 추진제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이어 발사체 상태, 기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발사 시점이 결정된다. 같은 날 오후 4시가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아직은 예단할 수 없다.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누리호의 2차 발사는 당초 16일로 예정돼 있었다. 이를 하루 앞둔 지난 15일 누리호의 기립 상태에서 준비 작업을 진행하던 중 1단 산화제 탱크의 레벨센서 신호 이상을 발견하고 발사를 연기했다. 이후 누리호는 이날 발사대에 다시 기립할 때까지 조립동으로 옮겨져 보관됐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