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분열… ‘보복 수사’ 프레임도 동상이몽

입력 2022-06-16 17:24 수정 2022-06-16 17:4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일 국회로 첫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을 겨냥한 검찰·경찰의 수사를 두고 친명(친이재명)계와 친문(친문재인)계가 정반대의 해법을 내놓고 있다.

전혀 상반된 처방을 제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재명 의원의 차기 당 대표 출마를 둘러싼 시각차 때문이다.

친명계와 친문계 모두 이번 수사가 민주당을 겨냥한 새 정부의 ‘보복 수사’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친명계는 검찰의 보복수사로 인해 이 의원의 당대표 출마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친문계는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는 이 의원이 불출마해야 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며 맞서고 있다.

검찰 수사를 둘러싼 양측의 프레임 싸움은 오는 8월 전당대회가 다가올수록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친명계 한 의원은 16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검찰의 ‘산업부 블랙리스트 수사’와 관련해 “새 정부의 야당 탄압에 맞설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면서 “이 의원도 이번 수사를 계기로 출마 쪽으로 마음이 더 기울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이 차기 당대표를 맡아 민주당을 향한 수사에 방어막을 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친명계 다른 의원도 “차기 당대표는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정권 견제에 앞장서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지난 대선에서 맞붙었던 이 의원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강조했다.

친명계는 경찰이 이날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의혹’과 관련해 성남시청을 압수수색한 것에 대해서도 “이재명 옥죄기”라고 반발했다.

이 의원도 15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자신을 겨냥한 검찰의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의혹’ 수사를 ‘정치보복’ ‘사법살인’으로 규정한 상태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그러나 친문계는 이번 검찰·경찰 수사로 이 의원의 약점인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친문계 한 의원은 “새 정부가 보복수사를 결심했다면 이 의원을 그냥 두겠느냐”며 “이 의원이 차기 당대표가 되면 임기 중 검찰 수사를 받게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친문 의원은 민주당에 ‘이재명 리더십’이 절실해졌다는 친명계의 해석에 대해서는 “강성 지지층이나 호응할만한 소리”라며 일축했다. 이어 “이 의원 자신이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보복수사에 자신 있게 맞서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다른 친문 의원은 “이 의원의 당대표 출마가 이제는 ‘방탄용 출마’로 비칠 수밖에 없게 됐다”며 “그래도 이 의원이 출마를 강행하면 강성 지지층은 이 의원을 감싸고, 이에 염증을 느끼는 중도층은 당을 떠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친문계 일각에서도 검·경의 수사가 이 의원의 출마 결정에 큰 변수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친문계 한 중진 의원은 “당 입장에서는 주요 자산인 이 의원을 일단 감싸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은 보복수사를 이유로 이 의원을 향해 ‘출마해라, 말라’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우상호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당 상임고문단과 간담회를 열고 민주당 혁신 방안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권노갑 상임고문은 간담회에서 “민주당이 정권 재창출을 못 한 근본적 원인이 계파정치에서 비롯된 분열과 갈등”이라며 “이런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 속으로 들어가 국민의 사랑과 지지를 얻는 정당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주환 안규영 김승연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