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서계동의 국립극단 부지에 BTL(임대형 민간투자) 방식으로 복합문화시설을 조성하는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방안에 대해 연극계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범연극인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린 한국연극협회는 16일 문체부에 복합문화공간 사업자 선정을 포함한 계획 일체의 진행 중단을 요구하면서 21일까지 납득할 수 있는 답변을 달라고 요구했다.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조성 사업은 현재 국립극단이 사용 중인 서계동 부지(7820㎡)에 BTL 방식으로 대공연장(1200석), 중공연장(500석), 소공연장 3개(300석, 200석, 100석) 등을 갖춘 지상 15층, 지하 4층 규모의 복합문화시설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 1244억 원을 들여 2023년 7월 착공해 2026년 12월 말에 준공한다는 목표로, 현재 사업자 선정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공연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자 문체부는 지난 25일 연극계, 26일 나머지 장르를 대상으로 서계동 국립극단 스튜디오에서 공청회를 열기도 했다.
이 사업과 관련해 뮤지컬계 및 무용계는 찬성을 표했지만, 연극계는 국립극단 고유의 공간이 사라지게 되는 만큼 반대를 표하고 있다. 이미 서울연극협회, 한국연극연출가협회, 공연예술인노조 등이 잇따라 반대 설명서를 발표했으며, 한국연극협회는 6월 13일 자로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시켜 적극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연극협회는 이날 성명서에서 “예술인과 전문가들과의 충분한 논의 없는 민자 유치 복합문화공간 조성사업을 단호히 반대한다”면서 “서계동 자리는 2010년부터 국립극단이 맨바닥부터 갈고 닦아 온 터전이다. 멀티플렉스 공연장은 시대 역행의 상징일 뿐이며 수지(손익)를 먼저 논하는 곳에 문화는 생성되지 않고 예술은 머물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문체부에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관련 일체의 중단을 요구한 한국연극협회는 연극계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