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5일 “대통령실은 사실상 비상경제체제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새 정부 5년간의 경제 청사진을 담은 ‘경제정책방향’ 발표를 하루 앞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삼고시대가 도래했다는 말을 많이 쓴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이라며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매일 아침 회의를 하고 있다. 대통령 경제수석실이 가장 먼저 대통령에게 보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부총리 중심의 경제장관회의도 비상경제장관회의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며 “대통령은 지난 5월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부터 물가와 경제 얘기를 하고 있다. 모든 비서실 직원들이 비상한 각오를 다지고 있다”고 전했다.
용산 대통령실은 인플레이션 상황과 관련해선 “공급 측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단기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여러 노력을 하겠다”며 “정부만 (노력)해선 안 되고 정부와 민간, 각 경제주체가 같이 노력해야지만 극복이 가능한 위기”라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공급사이드 경제위기에 대해 “굉장히 오래 간다는 게 특징”이라며 “물건의 생산·유통 과정에서 막힌 걸 단기적으로 뚫고 비용을 줄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 단기적으로 수급에 애로가 생겨 가격이 폭등할 수도 있기에 이런 부분의 막힌 곳을 뚫어주는 게 정부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