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은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 공사 발주에 앞서 자재 가격 상승분을 공사비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시공사의 부담 완화와 발주 예정인 철도사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된다.
턴키 공사는 설계에서 시공까지 건설사가 모든 책임을 부담하고, 기본계획 발표 후 입찰까지 발생하는 물가 변동을 계약 금액에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 물가 상승분은 시공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단은 향후 총사업비 자율조정 협의를 통해 발주 전 물가변동분을 미리 반영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공단은 지난 5월 발주한 남부내륙철도 턴키 공사(2개 공구)에 이어 광교~호매실 복선전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등 연말까지 4개 사업 13개 공구를 발주한다.
김한영 철도공단 이사장은 “물가 변동과 같이 공사 외적 요인에 따른 비용까지 시공사에 전가하는 것은 공정경제 정책에도 어긋난다”며 “현장의 어려움을 원만히 해소해 예정된 철도사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