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부터 완성차 양산에 들어간 광주형 일자리 1호 광주글로벌모터스(GGM)를 민간에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 최초 노사상생 일자리의 존속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 점화될 조짐이다.
민생당 광주시당은 14일 “GGM은 시장 원리를 무시한 정치적 산물로 미래 비전이 없다”며 실질적 최대주주인 시가 튼튼한 민간기업에 매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대우 광주시당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리와 환율 등 각종 통계를 볼 때 GGM은 2027년 자본잠식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며 “2001년 충남 서산에서 OEM 자동차 업체로 출발했다가 현재는 기아차 계열사로 인식되는 동희오토와 다를 게 없다”고 매각 논란에 불을 지폈다.
대기업이 개발한 차량의 조립생산 기능만 갖춘 GGM 공장은 급변하는 자동차 업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는 만큼 소형차 시장이 36.8% 하락한 시장 상황과 기업가치를 반영해 매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공익을 우선해야 될 행정기관이 OEM 방식의 자동차공장을 운영한다면 민간기업의 순발력과 과감한 투자를 기대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전기차 생산설비로 전환하기 위한 자금조달도 어려운 만큼 GGM을 팔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대, 30대 젊은 층이 주축인 캐스퍼의 구매력이 금리 인상 등으로 낮아지고 있는 만큼 신차 효과로 판매량이 절정을 이룬 지금이 GGM 매각의 적기라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자동차·전기차 부품과 초소형 전기차를 생산 중인 경남 밀양과 부산, 전북 군산, 강원 횡성 등의 지역 상생형 일자리 기업은 독자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부가가치가 적은 단순 조립생산에 그치는 GGM은 낮은 인건비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허망한 논리에 머물러 경쟁력 확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민생당 광주시당은 이에 따라 혈세 낭비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등과 함께 GGM 민간매각협의회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온라인에서는 이를 둘러싼 반대여론도 가열되고 있다.
‘카이엔’이라는 네티즌은 “노사상생 기업은 민간회사 이윤추구가 아니라 지역 일자리 만들기가 목적”이라며 ”민간에 팔면 임금은 더욱 쥐어짜고 구조조정도 감수해야 한다”고 민간매각에 반대했다.
이와 관련, 이용섭 광주시장은 최근 GGM 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적 임금 혜택에 대한 애초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부정적 여론이 일자 SNS에 글을 올렸다.
이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지자체가 주도하고 지역 노사민정의 대타협을 통해 성공시킨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놀라운 성과”라며 ”한국경제의 고질적 문제인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해소하고 노사상생과 원하청 동반성장, 지역 균형발전을 이룰 유일한 해법”이라고 반박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