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15일 안철수 의원이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에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을 추천한 이후 ‘화합의 제스처’라고 표현한 것을 놓고 “화합을 뭐 이렇게 하느냐”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제도 변경까지 해서 (최고위원) 두 자리를 만들었는데 애초 취지대로 국민의당 측 안 의원과 고락을 같이했던 인사를 추천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우리 당 의원을 추천하느냐, 이건 하나의 의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 대표는 안 의원이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2명으로 김윤 전 국민의당 서울시당위원장과 정 의원을 추천한 것에 대해 재고 요청을 했다. 김 위원장에 대해선 과거 발언 논란을 이유로, 정 의원과 관련해선 국민의당 인사의 참여 기회를 열자는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에 안 의원은 전날 “이제 한 당이 됐는데 국민의당 출신만 고집하는 것 자체가 화합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당 현역 의원분 중 좋은 분이지만 기회를 못 가진 분을 추천했다. 화합의 제스처”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안 의원의 최고위원 추천 속내에 다른 의도가 있다고 보나’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넘겨짚진 않겠지만 다들 이상하다고 한다”며 “국민의당이 세 석 정도 있는 정당이었기 때문에 원래 1명 정도의 최고위원을 지원하려고 했으나 그때 제가 통 크게 합의한 게 2명이다. 두 분 자리를 만들었는데 왜 이렇게 논쟁적일 수밖에 없는 명단을 주시나”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당에 훌륭한 분들이 많은데 논쟁적인 명단을 주시니 저뿐만 아니라 다른 최고위원들도 ‘이거 뭐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정 의원을 거부하는 이유가 안 의원과 친윤계의 영향력이 최고위에서 확대되는 것 때문 아니냐’는 질문에는 “우선 안 의원과 친윤계는 아무 관계가 없다”며 “정 의원은 우리 당에서 싫어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정 의원보다 국민의당 측 인사가 낫지 않겠느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안 의원이 “합당은 두 달 전에 끝났다”며 재고 요청에 불쾌감을 드러낸 것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사실 명단이 한 달 전에 왔다. 지난 5월 13일에 왔는데 지방선거 한복판에 와서 (안 의원 측 추천 명단을) 아무도 못 봤다”며 “선거 끝나고 보고 있는 건데 논쟁적 명단을 왜 보냈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앞서 자신과 정진석 의원과의 설전을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과의 갈등으로 보는 시선에 대해선 “대통령과의 소통이 일부에 의해 독점돼 있다면 윤핵관이라는 말이 나올 텐데 우리 대통령은 의원 한 명 한 명과 소통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되게 대단한 것이 용산 집무실 간 다음에도 평소 사용하던 휴대폰 번호를 바꾸지 않았다”며 “과거와 같이 문고리 (권력) 또는 특수 지위를 누리는 사람들이 윤석열정부에서는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대외 행보와 관련해선 “팬카페 문제도 그렇고, 적어도 사진이 유통되는 경로 등으로 자꾸 논란이 있는 것은 이번 기회에 한 번 정리가 돼야 하지 않나”라며 “영부인 자격과 역할에 대해서 대통령마다 좀 다르게 규정되기는 하지만 이번에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