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사장에 장형준 서울대 음대 교수 내정… 국립극장장은?

입력 2022-06-15 06:26 수정 2022-06-15 13:39
예술의전당 사장에 내정된 피아니스트인 장형준 서울대 음대 교수.

예술의전당 사장에 피아니스트인 장형준(60) 서울대 음대 교수가 내정됐다. 15일 클래식계와 예술의전당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유인택 사장의 후임에 장형준 교수를 임명할 예정이다. 임기는 3년이다.

장 교수는 미국 맨해튼 음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피아니스트로서 국내외 무대에 섰으며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이날 퇴임식을 가지는 유인택 사장은 지난 3월 21일 임기가 만료됐지만 차기 사장 임명 때까지 예술의전당을 이끌었다.

국내 최대 규모 복합문화공간인 예술의전당이 문화예술계에서 차지하는 상징성 때문에 예술의전당 사장 인선은 문화계에서 초미의 관심을 모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별도의 공모 절차 없이 문체부 장관이 임명하기 때문에 인선 때마다 밀실에서 낙점식 선임이 이뤄져 왔다. 이번에도 하마평이 무성했지만 결국은 예상 밖의 인선으로 귀결됐다.

예술의전당 전경. 예술의전당

실제로 장형준 교수의 예술의전당 사장 내정 소식에 대해 공연계는 ‘뜻밖’이라는 반응이 많다. 장 교수가 피아니스트로서 연주 활동도 적은 데다 교육자로서 주로 학생 지도에 무게중심을 둬 왔기 때문이다. 공연계 관계자는 “예술의전당 사장은 공공성, 예술성, 수익성을 균형 있게 관리해야 하는 쉽지 않은 자리다. 특히나 최근 예술의전당이 제대로 된 공공극장의 역할을 못 해 개혁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장 교수의 선임은 의외라고밖에 할 말이 없다”고 전했다.

한편 예술의전당과 함께 국내 공연계를 대표하는 국립극장에서도 1년 넘게 공석이던 극장장 자리가 채워질지 아니면 4차 공모에 들어갈지 주목된다.

국립극장은 책임운영기관이기 때문에 개방형 직위 고위공무원인 국립극장장은 인사혁신처 공모를 거쳐 문체부 장관이 최종 임명하게 되어 있다. 임기 3년의 국립극장장은 성과에 따라 연임도 가능하다. 문체부가 지난해 9월 임기가 끝나는 김철호 당시 국립극장장의 후임을 새롭게 뽑기로 하면서 인사혁신처는 지난해 6월 선발 공고를 냈다. 당시 공모에 32명이 지원해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김해숙 전 국립국악원장, 안성수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진옥섭 전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으로 후보가 압축됐지만 역량평가와 인사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전경. 연합뉴스

인사혁신처는 결국 지난해 11월 30일 국립극장장 2차 공모에 들어갔다. 박상진 동국대 한국음악과 교수, 채치성 전 국악방송 사장, 김희정 상명대 음대 교수로 후보가 최종 압축됐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역량평가와 인사심사가 이뤄지지 않은 채 중단됐다. 그리고 지난 3월 3차 공모가 시작돼 최종 후보자로 고희경 홍익대 공연예술대학원 원장 겸 홍익대 대학로아트센터 센터장과 전해웅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이 압축됐다. 두 후보자 모두 예술의전당 출신이다. 공연계에서는 국가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국립극장장 자리를 더 이상 비워둬서는 안된다는 여론이 높지만 3차 공모가 길어지면서 이번에도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 등 3개의 전속단체를 가진 국립극장은 전통에 기반을 둔 동시대적 공연예술 창작을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극장장 공모 방식으로는 제대로 된 인선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역량평가 시험을 예술계에도 똑같이 적용하는 것이 맞느냐는 지적은 차치하고, 겉으로는 공모지만 사실상 정권 코드에 맞지 않으면 역량평가 시험에 합격해도 탈락하기 때문에 역량 있는 인사들이 잘 나서지 않는다.

공연계 관계자는 “예술의전당 사장처럼 문체부가 일방적으로 임명하는 방식도, 국립극장 극장장처럼 인사혁신처 통해 공모하는 방식도 문제가 있다”면서 “국립 예술기관장의 경우 해외처럼 전문가들로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역량 있는 분을 추천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문체부 장관은 추천위원회의 면접 등을 통해 복수로 올라온 최종 후보자 가운데 낙점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공정성과 투명성도 담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