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용산으로 이전한 대통령 집무실의 명칭을 당분간 ‘용산 대통령실’ 그대로 사용하기로 14일 결정했다. 지난 3일 ‘국민의집’, ‘국민청사’, ‘민음청사’, ‘바른누리’, ‘이태원로22’ 등 후보작 5개가 선정됐으나 이들 후보작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게 이유다.
대통령실은 “합당한 명칭이 나올 때까지 시간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용산 대통령실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굳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새이름위원회(새이름위)는 이날 회의 끝에 대통령 집무실의 새 명칭을 권고하지 않기로 결론 냈다고 밝혔다.
새이름위는 “62년간 사용된 청와대의 사례에 비춰 볼 때, 한번 정하면 향후 오래도록 지속적으로 사용할 대통령 집무실의 이름을 결정하는 일은 무엇보다 신중하고 국민적 공감대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새이름위는 이어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볼만한 명칭을 찾기 어렵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며 “온라인 선호도 조사 결과 과반을 득표한 명칭이 없었고, 각각의 명칭에 대한 비판 여론 등을 감안했다”고 전했다.
새이름위 회의에서는 선호도 조사 1위(32.1%)를 기록한 이태원로22에 대해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선호도 조사 2위(28.1%)에 오른 국민청사에 대해서는 “중국 국민당이 사용하는 청사라는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이에 따라 취임 후 쓰인 용산 대통령실이라는 명칭을 당분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새 명칭은 대통령실 주변 공간과 용산공원의 조성이 완료 된 뒤 시간을 두고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공원 조성까지는 수년이 소요된다. 이 때문에 사실상 용산 대통령실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확정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새이름위는 지난 4월 15일부터 한 달간 대국민 공모로 약 3만 건의 대통령실 명칭 응모작을 접수했다. 검토를 거쳐 국민의집, 국민청사, 민음청사, 바른누리, 이태원로22 등 후보작 5건을 지난 3일 선정했다. 새이름위는 3일부터 9일까지 이들 5개 후보작에 대한 국민 선호도 조사를 거쳤으나 결국 결론을 내지 못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공모한 이름이 다 마음에 안 든다’고 지적한 이상 이대로 갈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