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민석 “계파 기득권의 저항…처럼회 비판 뜬금없다”

입력 2022-06-14 18:14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시스

친이재명계로 꼽히는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민주당 내에서 벌어진 계파 갈등에 대해 “친명·반명이 아닌 계파 기득권의 저항”이라며 “처럼회 향한 뜬금없는 비판이 계파 기득권의 역습”이라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에 “국힘을 따라잡아라. 국힘보다 못하니 대선에 졌고 대선에 졌으니 지선에서도 지는 것은 당연하다”며 “그런데 민주당 내 기득권 카르텔 세력은 패배의 책임을 엉뚱한 곳에 돌리고 반성은커녕 혁신을 반대하며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고 적었다.

안 의원은 “민주당 내 논란이 겉으로는 계파 갈등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혁신 vs 반혁신의 투쟁이다”라며 “계파가 좌지우지하는 기존의 전당대회 룰을 바꾸지 않는 한 노무현 대통령 같은 혁신가가 도전하더라도 컷오프와 대의원 장벽은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뜨거운 쟁점이 된 중앙위원회의 컷오프 폐지, 대의원제 폐지, 신규당원 투표권 부여를 이미 국민의힘은 실천했다. 민주당은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국민의힘과 혁신 경쟁에서 밀리면 차기 총선패배는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룰을 바꾸면 특정인에게 유리하다는 계파적 관점에 굴복한다면 우상호 비대위원회는 혁신형이 아니라 관리형 비대위로 그칠 것”이라며 “당원 민주주의 관점을 견지하는 비대위의 담대한 결단을 기대한다”고 역설했다.

앞서 안 의원은 지난 9일과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연신 글을 올려 “대의원 1명이 신규당원 90명과 같은 권한을 부여받고 있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대의원에게 주어진 과한 특권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현재 민주당의 전대 룰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 당원 여론조사 5%를 합산하는 방식이다.

현행대로라면 3·9 대선 이후 가입한 20만명의 당원은 상대적으로 반영 비율이 낮은 일반 당원에 속하게 된다. 권리당원으로서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선거권 행사 6개월 전에 입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소위 ‘개딸’로 분류되는 이재명 의원의 지지자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친명계 의원들이 전대 룰 개정을 요구하는 이유다.

안 의원은 이 의원과 15년 지기를 자처하는 대표적인 친명계 의원으로 분류된다.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선거 캠프 총괄특보단장을 맡았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