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반도체학과 증원, 지방대 우선해야”

입력 2022-06-13 18:22 수정 2022-06-13 21:22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포토마스크를 바라보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전라남도가 반도체 관련 학과를 지방대학에 우선 증원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전남도는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수도권 대학 위주로 반도체 학과를 증원하면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방대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더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증원은) 인구감소·낙후지역 대학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특히 지역대학에는 정원 감축을 조건으로 지원하는 ‘적정 규모화 계획’을 추진하는 반면, 수도권 대학은 증원 정책을 추진해 수도권 집중에 힘이 실리면 지방대학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며 수도권 대학 정원 확대 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산업은 우수한 인재를 키워내는 것이 핵심”이라며 “전 부처가 인재 양성을 위해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는 9일 교육부를 찾아 “첨단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 정원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금까지 반도체 관련 학과가 신설된 학교의 면면을 보면 고려대·연세대·서강대·한양대·이화여대 등 주로 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포진돼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일 선정한 ‘AI 반도체 융합인력양성’ 대학도 서울대·성균관대·숭실대 세 곳으로 모두 수도권 대학이다.

반면 반도체 학과가 신설되는 지방대학은 4대 과학기술원인 한국과학기술원 KAIST·광주과학기술원(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울산과학기술원(UNIST) 학부와 대학원뿐이다.

전남도는 이를 두고 “부족한 인력양성은 시급한 과제이지만 수도권 대학의 증원만이 해답일 수 없고, 오히려 인구감소로 낙후한 지방대학에 반도체 학과 개설을 신설하는 방안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반도체 등 미래 신성장산업 위주의 인력양성이 지방대학에서 추진돼야만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방의 인구 소멸을 억제하고 지역 균형발전은 물론 선순환적인 인력 공급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수도권 중심 반도체 학과 증원계획은 지방대학 위기를 가속해 결국 고사할 수밖에 없고, 지역 산업도 인력 부족으로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며 “수도권 대학 정원 확대 검토는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