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내에서 의용군으로 활동하다 붙잡힌 영국인 2명에 대한 사형 선고에 사면 불가 방침이 떨어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데니스 푸실린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수장은 러시아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들에 대한 사면을 결정할 어떤 근거나 전제조건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DPR은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세운 자칭 독립국으로, 사형 판결이 이뤄진 이곳 법원은 국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영국인 숀 핀너와 에이든 애슬린 등은 전투 도중에 생포됐다. 지난 9일 DPR 법원은 이들과 또 다른 모로코인 포로 시아우둔 브라함 등 3명을 공화국 전복을 위한 용병 활동에 가담한 혐의로 사형을 선고했다.
이에 대해 영국과 우크라이나는 국제법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영국은 핀너와 애슬린이 우크라이나 정규군으로서 제네바 협약에 따라 적대 행위 참여로 인해 기소에서 면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 총리실은 자국민 2명에게 내려진 판결에 깊은 우려를 표하고, 이들의 석방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계속해서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사형 판결을 받은 애슬린과 핀너의 가족들은 성명을 통해 “용병이 아닌 우크라이나 군인으로 오랫동안 복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쟁이 터졌을 때 우크라이나에 살고 있었다”며 “우크라이나 정규군의 일원으로서 다른 포로들과 마찬가지로 존중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러즈 트러스 영국 외무부 장관은 판결에 대해 “전혀 합법적이지 않은 엉터리 판결”이라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외무장관과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영국 정부 당국자들 사이에서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외교적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러시아와 영국 간 분쟁으로 커진다면 이들이 용병이라는 러시아의 주장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국영 통신 리아 노보스티에 따르면 3명 모두 용병으로 활동하며 적대 행위, 테러 활동을 위한 훈련 등 혐의로 기소됐다. 이들은 모두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희망하고 있다고 타스 통신은 전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