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김우빈)은 다운증후군을 앓는 언니 영희(정은혜) 때문에 자신과의 관계에 부담을 느끼고 멀어지려는 영옥(한지민)에게 이렇게 말한다. 누구나 아픔이 있고 살면서 어려움을 겪으며, 때로 삶은 재미없고 심각해지기도 하지만 그런 게 인생이라고 시청자들에게 말한다.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인생사를 통해 시청자들을 웃기고 울린 tvN 주말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가 막을 내렸다. 13일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 10분 방송된 마지막회 시청률은 14.6%(비지상파 유료가구)로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마지막 회에선 암에 걸려 죽음을 앞둔 옥동(김혜자)과 동석(이병헌) 모자의 이별 이야기가 그려졌다. 평생 엄마에 대한 원망을 품고 산 동석에게 옥동은 자신이 죽으면 장례도 치르지 말라는 말로 사과를 대신했다.
함께 한라산에 다녀온 뒤 옥동을 집에 데려다 준 동석은 “내일 아침에 올테니 된장찌개를 끓여달라”고 했고, 이튿날 아침 옥동은 아들을 위해 된장찌개를 끓여둔 뒤 숨을 거뒀다. 동석은 옥동을 안고 “평생 미워한 게 아니라 이렇게 안고 화해하고 싶었다”며 오열했다.
옥동이 세상을 떠난 후 푸릉마을 주민들은 운동회를 즐기며 활짝 웃었다. 아픈 사연을 끌어안기도 하고 털어내기도 하며 모두가 삶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드라마는 끝을 맺었다.
제주를 배경으로 한 ‘우리들의 블루스’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9개의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가장의 무게를 짊어지고 고향을 찾은 기러기 아빠 한수(차승원)와 억척스럽게 살아온 생선장수 은희(이정은), 고등학생 딸의 임신 소식을 듣게 된 아빠 호식(최영준), 우울증으로 이혼하고 남편에게 아들의 양육권을 빼앗긴 선아(신민아) 등 다채로운 인생사가 담겼다.
‘그들이 사는 세상’ ‘괜찮아, 사랑이야’ ‘디어 마이 프렌즈’ 등을 쓴 노희경 작가와 톱스타 군단의 만남으로 드라마는 제작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그간 다양한 작품에서 연기력을 입증해 온 배우들은 몇 달간 제주도에서 지내며 제주 사투리를 익히고, 캐릭터 연구를 통해 드라마 속 인물에 숨을 불어넣었다.
무엇보다 드라마는 온기가 남아있는 푸릉마을을 배경으로 ‘사람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극중 인물들은 이웃, 친구, 가족, 연인 등 여러 형태의 관계 속에서 서로 의지하면서 삶의 난제들을 풀어나갔다.
“태풍처럼 모든 게 지나갈 거야”, “등만 돌리면 다른 세상이 있잖아” 등 노 작가의 명대사는 시청자들의 마음에 울림을 줬다. 실제 다운증후군 장애인인 배우 겸 작가 정은혜가 영옥의 언니 영희를 연기하면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시선을 현실감 있게 담았다.
공희정 드라마평론가는 “어떤 면에서는 이상적일 수도 있겠지만 각박한 현실에서 얻을 수 있는 힘과 용기, 위로를 충분히 잘 전달한 작품”이라며 “노 작가가 해 온 여러 작품을 관통하는 인간애, 연대 등을 이번에도 여지없이 보여줬다”고 분석했다.
이어 “배우들의 연기 덕분에 명대사들이 작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감동을 이끌어냈다”며 “옴니버스 형식으로 인해 자칫 몰입이 끊길 수 있는 이야기들을 은희라는 캐릭터가 잘 이어줬다. 배우 김혜자, 이병헌의 모자 연기는 압권이었다”고 평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