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1.6조원 피해 추산… 尹 “다각도 대안”

입력 2022-06-13 15:49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13일 민주노총 서울본부 주최로 화물연대 총파업 지지 시민·사회단체 대정부 대화 촉구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같은 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주례회동에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사전환담을 하는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엿새간 발생한 피해 규모가 1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는 13일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지난 7∼12일 철강‧석유화학‧자동차 등 주요 업종에서 모두 1조5868억원 상당의 생산·출하·수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적재 공간의 임계점에 도달한 업체가 늘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산업부는 전망했다.

철강업계에선 엿새간 총 45만t의 출하 차질이 발생했다. 철강 제품의 평균 단가를 t당 155만원으로 매기면 6975억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재고 적재 공간 부족으로 이날부터 선재·냉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석유화학업계는 전남 여수, 충남 서산 대산공단을 중심으로 제품 반출이 제한돼 5000억원 상당의 제품 출하 차질이 빚어졌다. 자동차 업계는 5400대의 생산 차질로 승용차 평균 판매가 4759만원을 적용한 피해 규모가 2571억원일 것으로 추산됐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가 상승 등 복합적 위기 상황에서 화물연대 관련 물류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국민 경제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며 “조속하고 원만한 합의와 물류 정상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 첫 주례회동을 가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화물연대 총파업을 별도로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가 일주일로 접어들어 이번 주부터 산업계 피해가 늘어날 수 있으니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